goo blog サービス終了のお知らせ 

500 MILES (ch.o1)

俳優チェ・ミンシク氏ファンが綴る覚え書き+韓国旅+勉強ブログ。

【記事】[フォト]チェ・ミンシク”ズカズカと”

2012-10-31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ズカズカ」オッパらしい表現です。笑

●edaily●(韓国語)
「[フォト]チェ・ミンシク”ズカズカと”」

>배우 최민식이 3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공개홀에서 열린 '제 49회 대종상 영화제'에 참석해 레드카펫을 밟고 있다.
(俳優チェ・ミンシクが30日午後、ソウル永登浦区汝矣島KBS公開ホールで開かれた”第49回大鐘賞映画祭”に参加し、レッドカーペットを踏んでいる。)

(※ズカズカw)

【記事】[釜日(プイル)映画賞フォト]チェ・ミンシク”主演男優賞の威厳”

2012-10-07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breaknews●(韓国語)
「[釜日(プイル)映画賞フォト]チェ・ミンシク”主演男優賞の威厳”」

>5일 오후 해운대 그랜드 호텔 2층 그랜드 볼룸에서 열린 '제 21회 부일영화상' 시상식에서 배우 최민식이 남우주연상을 받고 소감을 말하고 있다.
(5日午後、海雲台グランドホテル2階グランドボールルームで開かれた”第21回釜日映画賞授賞式”で俳優チェ・ミンシクが主演男優賞を受けて感想を述べている。)

>이날 최민식은 수상 소감으로 "사람이 살면서 어떤사람을 만나는지 중요하다. (나는)정말 좋은 사람을 만났다. 상을 반으로 나눌수 있다면 (반을)하정우에게 주고싶다." 며 하정우에게 고마운 마음을 표했다.
(この日チェ・ミンシクは受賞の感想で、「人は生きながら、どんな人に会うのかが重要だ。(私は)本当に良い人に会った。賞を半分に分けることができるのなら、(半分を)ハ・ジョンウに送りたい。」として、ハ・ジョンウに感謝の気持ちを表わした。)

【記事】『犯罪との戦争』、百想映画大賞受賞

2012-04-30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STAR Today●(韓国語)
「『犯罪との戦争』、百想映画大賞受賞」



>영화 ‘범죄와의 전쟁’이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대상에 선정됐다.
(映画『犯罪との戦争』が百想芸術大賞映画部門大賞に選ばれた。)

>배우 최민식은 26일 오후 6시 30분 서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내 올림픽홀에서 열린 제48회 백상예술대상 시상식에서 대표로 수상소감을 밝혔다.
(俳優チェ・ミンシクは、26日午後6時30分ソウル松坡区芳夷洞のオリンピック公園内オリンピックホールで開かれた第48回百想芸術大賞授賞式で、代表として受賞の感想を明らかにした。)

>최민식은 “동료, 선후배 배우들은 물론 스태프, 제작진 여러분과 모두 함께 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며 “앞으로 더욱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チェ・ミンシクは「同僚、先・後輩俳優はもちろん、スタッフ、制作陣の皆さんと共にしたから可能なこと」だったとし、「今後さらに一生懸命する」と話した。)

>이어 그는 “무엇보다 아름다운 후배 여배우, 강소라 양이 작품 프러포즈를 해 와 기쁘다”며 “왜 하필 장르가 스릴러인 지 모르겠지만 그 안에서 사랑이 싹 틀 것으로 믿는다”고 재치있는 말을 남겨 주변을 폭소케 했다.
(引き続き彼は、「何より美しい後輩女優カン・ソラさんが作品プロポーズをしてきて嬉しい」とし、「何故よりによってジャンルがスリラーなのかわからないが、その中で愛が芽生えると信じる」と、機転ある言葉を残し周囲を爆笑させた。)

>앞서 인기상을 수상한 강소라는 “함께 호흡을 맞추고 싶은 배우가 누구냐?”는 질문에 1초의 망설임 없이 최민식을 꼽았다. 하지만 모두의 기대와는 달리 로맨스가 아닌 스릴러를 함께 찍고 싶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先立って人気賞を受賞したカン・ソラは、「共演したい俳優は誰か?」という質問に、1秒の迷いなくチェ・ミンシクを挙げた。だが皆の期待とは違い、ロマンスではなくスリラーを一緒に撮りたいと話し、笑いを誘った。)

>한편, 이날 시상식의 MC는 지난해에 이어 김아중과 이휘재가 맡았으며 ‘개그콘서트’ 인기 코너 `용감한 녀석들`(정태호 신보라 박성광), 그룹 씨엔블루(정용화 이정신 이종현 강민혁) 등이 축하공연을 펼쳤다.
(一方、この日授賞式のMCは昨年に続きキム・アジュンとイ・フィジェが引き受け、「ギャグコンサート」の人気コーナー「勇敢な野郎ども」(チョン・テホ、シン・ボラ、パク・ソングァン)、グループCNBLUE(チョン・ヨンファ、イ・ジョンシン、イ・ジョンヒョン、カン・ミンヒョク)等が祝賀公演を行った。)

【記事】イ・ギョンギュ、チェ・ミンシクとの義理誇示・・・『犯罪』釜山舞台挨拶

2012-02-24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STAR NEWS●(韓国語)
「イ・ギョンギュ、チェ・ミンシクとの義理誇示・・・『犯罪』釜山舞台挨拶」



>개그맨 겸 영화제작자 이경규가 학교 후배 최민식과 두터운 의리를 과시했다.
(コメディアン兼映画制作者のイ・ギョンギュが、学校の後輩チェ・ミンシクと厚い義理を誇示した。)

>이경규는 지난 19일 부산에서 진행된 '범죄와의 전쟁:나쁜놈들 전성시대' 무대인사에 합류, 최민식 하정우 조인웅 등 배우들과 관객과 만났다. 부산이 고향인 이경규가 '범죄와의 전쟁' 흥행에 일조하기 위해 힘을 보탠 것.
(イ・ギョンギュは去る19日、釜山で進行された『犯罪との戦争~悪いやつら全盛時代』の舞台挨拶に合流、チェ・ミンシク、ハ・ジョンウ、チョ・ジヌンなどの俳優と観客に会った。釜山が故郷であるイ・ギョンギュが『犯罪との戦争』の興行に一助となるために力を加えたもの。)

>이경규는 이날 "오늘 '범죄와의 전쟁'을 보러 오신 분들 모두 제가 제작하는 다음 영화도 꼭 보러 오시라고 홍보하러 왔습니다"라고 말해 관객들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イ・ギョンギュはこの日、「今日『犯罪との戦争』を見に来られた方々全員、私が制作する次の映画にも必ず見にいらっしゃいと広報しに来ました」と話し、観客を笑いの海にした。)

>이경규가 '범죄와의 전쟁' 홍보에 동참한 것은 동국대 연극영화과 후배인 최민식과의 의리 때문. 두 사람은 각각 영화와 방송계로 다른 길을 걷고 있지만 절친한 선후배 사이다.
(イ・ギョンギュが『犯罪との戦争』の広報に参加したのは、東国大学演劇映画科の後輩であるチェ・ミンシクとの義理のため。二人はそれぞれ映画と放送界で別の道を歩いているが、極めて親しい先後輩の間だ。 )

>이경규는 지난달 19일 '범죄와의 전쟁' 제작보고회 때도 사회를 자처했다. 이경규는 좀처럼 제작보고회 같은 행사 사회를 맡지 않지만 최민식을 돕기 위해 흔쾌히 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민식은 이경규가 진행하는 SBS '힐링캠프'에 출연하는 것으로 화답했다.
(イ・ギョンギュは、先月19日『犯罪との戦争』制作報告会の時も司会を自任した。イ・ギョンギュはあまり制作報告会のようなイベントの司会を引き受けないが、チェ・ミンシクを助けるために快く受諾したと分かった。チェ・ミンシクはイ・ギョンギュが司会をするSBS「ヒーリングキャンプ」に出演することで応えた。)

>최민식은 올 초 이경규와 인연으로 아시아브릿지컨텐츠와 전속계약을 맺어 한솥밥을 먹게 됐다.
(チェ・ミンシクは今年の初め、イ・ギョンギュとの縁でアジアブリッジコンテンツと専属契約を結び、同じ釜の飯を食べることになった。)

>두 사람의 이런 인연이 이경규의 영화로 이어질지도 관심사다. 이경규는 제작을 준비 중인 영화에 최민식 섭외를 요청했으며, 최민식도 "대학 시절 같이 꿨던 꿈을 이루고 싶다"고 화답하기도 했다.
(二人のこのような縁がイ・ギョンギュの映画に繋がるかもしれないと関心事だ。イ・ギョンギュは制作を準備している映画にチェ・ミンシクの交渉を要請したし、チェ・ミンシクも「大学生のとき一緒に見ていた夢を叶えたい」と応じたりもした。)

【記事】『犯罪との戦争』のチェ・ミンシク”どうして?私はまだ新だ”

2012-02-14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東亜日報●(韓国語)
「『犯罪との戦争』のチェ・ミンシク”どうして?私はまだ新だ”」



한 편의 연극을 보는 줄 알았다.
(一篇の演劇を観ているのかと思った。)


그저 인터뷰인데, 배우 최민식(50) 모든 것을 동원해 답하고 있었다. 멀리서도 귀에 쏙쏙 꽂히는 목소리와 큰 손동작, 얼굴의 모든 근육을 쓰고 있는 표정. 말솜씨는 또 어떤가. 두 손을 모으고 경청하게 만든다. 거기에 따뜻한 유머도 있다.
(ただのインタビューなのに、俳優チェ・ミンシク(50)は全てのものを動員して答えていた。遠くからでも耳にサッと刺さる声と大きな手の動作、顔のすべての筋肉を使う表情。話しぶりはどうだろうか。両手を集めて傾聴させる。そこに温かいユーモアもある。)


최민식이 이번에 연기한 영화 ‘범죄와의 전쟁:나쁜놈들 전성시대’(2일 개봉, 감독 윤종빈)의 최익현도 달변가다.
(チェ・ミンシクが今回演技した映画『犯罪との戦争~悪い奴ら全盛時代』(2日公開、監督ユン・ジョンビン)のチェ・イッキョンも雄弁家だ。)


물론 속 내용은 다르다. 최익현은 입만 열면 ‘설레발’이다. 1980년대 부산, 직장에서 밀려날 위기에 처한 비리 세관원 최익현은 뛰어난 화술과 처세술을 무기로 부산 최고 주먹 최형배(하정우)와 손을 잡고 부산을 접수하기 위해 나선다.
(もちろん内面は違う。チェ・イッキョンは口を開けば「せわしいヤツ」だ。1980年代の釜山、職場で押し出される危機に処した不正税関員チェ・イッキョンは、優れた話術と処世術を武器として釜山最高の腕力チェ・ヒョンベ(ハ・ジョンウ)と手を握り、釜山を手に入れるために出る。)


‘범죄와의 전쟁’은 건달도 일반인도 아닌 ‘반달’ 최익현의 일대기다. “히로뽕을 일본에 내다 파는 게 애국”이라는 그의 궤변을 듣고 있자면, 실소부터 나온다. 그렇게 혼쭐이 나고도 아들 유학 보내기에 여념이 없는 이 위태로운 가장을 보고 있으면 어쩐지 안타깝기도 하다.
(『犯罪との戦争』はコンダル(=チンピラ)でも一般人でもない”パンダル”(パン=半ということから)チェ・イッキョンの一代記だ。「麻薬を日本に持ち出し売るのが愛国」という彼の詭弁を聞こうとすれば失笑しか出てこない。そんなひどい目にあっても息子留学させるのに余念がないこの危険な家長を見ていればなんだか切ない。)


어느새 ‘악마를 보았다’, ‘올드보이’ 등에서 보여준 최민식의 무게감은 사라지고 익숙한 옆집 아저씨가 떠오른다.
(いつの間にか『悪魔を見た』『オールド・ボーイ』等で見せてくれたチェ・ミンシクの重量感は消え、馴染みの近所のおじさんが浮び上がる。)



- 전작 ‘악마를 보았다’ 때와 관객 반응이 다르다. 그땐 섬뜩한 살인마였는데, 지금은 어쨌든 웃음을 담당했다.
(前作『悪魔を見た』の時と観客の反応が違う。あの時は背筋が凍る殺人魔だったが、今はとにかく笑いを担当した。)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유머가 이 영화의 강점이다. 관객들에게 무겁고 진지하게 질문을 건네는 것보다 농담처럼 화두를 던지고 싶었다. 그렇다고 너무 가볍게는 아니고. 시나리오를 봤을 때도 느낌이 왔다.”
(この映画を選択した理由でもある。ユーモアがこの映画の強みだ。観客に重くて真面目に質問を渡すことより、冗談のように話題を投げたかった。それでも軽すぎるのとは違って。シナリオを見た時も感触があった。)




최익현이라는 인물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チェ・イッキョンという人物はどのように作られたか。)


>“생각해보자. 최익현이라는, 늙수그레한 아저씨가 술자리에 합석하게 됐다. 남이 듣거나 말거나 영화 속에서처럼 떠든다. ‘당신, 영화배우야? 나 옛날에 부산 세관이었어’ 라면서. 최익현은 계속 떠드는 거다. 그렇게 실컷 떠들다가 ‘나 가네’하고 간다. 그때 그 아저씨의 뒷모습이 얼마나 짠하겠냐. 바로 그 느낌이다. 윤 감독에게도 물어봤다. 아는 사람이냐고. 그런데 윤 감독 아버지가 부산 경찰청의 고위 공무원이었다고 하더라. 영화에서 내가 고위 공무원 자제들에게 용돈 주는 장면이 있다. 실제 윤 감독이 어렸을 때 그랬다고 하더라. 그 당시엔 몰랐지만, 소위 머리가 굵어지니까 그게 다 로비였던 거지. 난 대본에 충실했다. 상상의 나래를 과하게 펼치면 작품과 무관한 불필요한 설정이 나온다.”
(考えてみよう。チェ・イッキョンという、かなりふけて見えるおじさんが酒の席に同席することになった。人が聞こうが聞くまいが映画の中のように騒ぐ。「あんた、映画俳優なの?俺、昔は釜山の税関だったんだぜ」と言いながら。チェ・イッキョンはずっと騒ぐんだ。そう思い切り騒いで「帰るよ」と出て行く。その時のおじさんの後ろ姿がどれくらい胸が痛いか。まさにその感じだ。ユン監督にも尋ねた。知っている人かと。ところでユン監督のお父さんが釜山警察庁の高位公務員だったそうだ。映画で私が高位公務員のヤツらに小遣いを与える場面がある。実際のユン監督が幼かった時そうだったそうだよ。その当時には分からなかったが、いわゆる頭が大きくなるから、それがみなロビーであったんだろう。私は台本に忠実だった。想像の翼を過度に広げれば作品と関係がない不必要な設定が出てくる。)


윤종빈 감독의 질문은 여기에서 시작했다. 집에서는 무뚝뚝하고 말이 없는 아버지가 밖에서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ユン・ジョンビン監督の質問はここから始まった。家では無愛想で言葉ない父親が、外ではどんな姿だっただろうか?)


>“나도 그랬다. 우리 아버지도 전형적인 함경도 사나이다. 어쩔 땐 수화를 해야 하나 싶을 정도로 말씀이 없으셨다. 자식에게도 생사확인만 하셨다. 학교 시설 관련된 일을 하셨는데, 그렇게 무뚝뚝한 분이 교장 선생님과 인사하는 걸 봤다. 연기하시는 줄 알았다. 너무 다정해 보여서. 개인적 바람도 있다. 이 영화가 아버지에게 전화해서 ‘소주 한잔하실래요?’ 라고 물을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되면 좋겠다. 30대 이상, 적어도 가정의 가진 남자라면 이 영화가 무슨 이야기인지 느낄 것이다. 단순히 깡패 영화가 아니라는 걸 말이다.”
(私もそうだった。うちの父親も典型的な咸鏡道男だ。どうしようもない時は手話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ほど言葉がなかった。子供にも生死の確認だけした。学校施設関連の仕事をされていたが、あんなに無愛想な方が校長先生と挨拶するのを見た。演技されているのかと思った。とても優しそうに見えて、個人的な風でもある。この映画が、父親に電話して「焼酎一杯飲みますか?」と尋ねることができる、そのような機会になれば良いだろう。30代以上、少なくとも家庭を持つ男ならば、この映画が何の話なのか感じるだろう。単純にチンピラ映画ではないということだ。)


최익현을 묘사하기 위해 10kg 넘게 살을 찌웠다. 지금은 그때보다 살이 빠졌다.
(チェ・イッキョンを描写するために10kg強も太らせた。今はその時より痩せた。)


>“그렇게 어떻게 사냐. 술을 줄였지. 그놈의 술이 ‘웬수’지. 식이 조절 하고 걷고. 마인드 컨트롤도 중요하다. ‘올드보이’의 오대수처럼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는 거다. 내가 원하는 체형을 그려보는 거지. 옛날이나 미친 듯이 운동했지, 이제는 힘들어서 못하겠다.”
((太ったままで)どうやって生きるのか。酒を減らしただろう。あいつの酒が”仇敵”よ。式が調節して歩いて。マインドコントロールも重要だ。『オールド・ボーイ』のオ・デスのようにイメージトレーニングをすることだ。自分が望む体形を描いてみることだね。昔でこそ狂ったように運動をしたが、もうしんどくて出来ない。)


쟁쟁한 후배들과 함께했다. 혹시 빚졌다고 생각이 드는 배우가 있나.
(優れた後輩達と共にした。ひょっとして世話になったと思う俳優がいるか。)


>“(하)정우지. 그래도 잘 나가는 친구인데. 참, 나랑 정우를 두고 신구(新舊)의 대결이라고 하던데, 신구가 어디 있냐. 난 아직도 신(新)이다. (웃음) 정우는 그릇이 그렇게 되더라. 배우라는 직업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치열하게, 진지하게 임한다. 지금 같은 마인드를 계속 유지한다면 40대를 넘으면 더 큰 배우가 될 것 같다. 내가 같은 또래 여자면, 연애 한 번 걸어 볼 텐데, 참. (웃음) 하루는 소주 마시면서 정우에게 말했다. 만약에 작품하다 필요하면 내가 한 번 들어가겠다고. 서로 돕고 사는 거지. ‘대장병’이 진짜 위험한 거다. 큰 작품들이 피를 보면 그 여파가 장난이 아니다. 영화 시장 자체가 위축되니까. 암튼, 잘되어야 한다.”
((ハ・)ジョンウでしょう。それもよく売れている後輩なのに。そうだ、私とジョンウを置いて新旧の対決だと言っていたが、新旧がどこにいるのか。私はまだ新だ(笑)。ジョンウは器がそうなんだよ。俳優という職業に対して責任感を持って激しく、真剣に臨む。 今と同じマインドをずっと維持すれば、40代を越えればより大きい俳優になりそうだ。私が同じ年頃の女ならば、一度恋愛をしてみるはずだ、まったく(笑)。ある日、焼酎飲みながらジョンウに話した。もし作品して必要ならば私が一度入ると。お互いに助けて生きることだね。「隊長病」は本当に危険なことだ。大きい作品が血を見れば、その余波が半端でない。映画市場自体が萎縮するから。とにかく、うまくやらなければならない。”)




극중 최익현을 협잡꾼으로 계속 움직이게 하는 동력은 가족이다. 최민식의 동력은 뭔가.
(劇中チェ・イッキョンを詐欺師としてずっと動かせる動力は家族だ。チェ・ミンシクの動力は何か?)


>“나 자신이다. 가족을 위해 일하는 건 아니다. 관객들을 위해서도 아니다. 그 이전에 나에게 연기는 이 세상과 소통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이 작업을 통해 아직도 하나하나 세상을 알아 가고 있다. 아직도 모르는 게 많다. 그래서 내가 맛있어야 한다. 그래야 관객에게도 ‘잡숴보세요’ 라고 하지 않겠느냐.”
(自分自身だ。家族のために仕事をしているのではない。観客のためとも違う。それ以前に私にとって演技は世間と疎通する唯一の手段だ。この作業を通じ、今でも一つずつ世間を知りつつある。まだ知らないことが多い。だから私は美味しくなければならない。それでこそ観客にも「召し上がってみてください」と言えるのではないか。)


- 마지막으로 최익현은 쉴 새 없이 경주 최씨 충렬공파라는 걸 강조한다. 실제로는?
(最後にチェ・イッキョンは休む暇もなく慶州チェ氏忠烈公派ということを強調する。実際は?)


>“난 전주 최씨다. 좀 걱정이다. 그쪽(경주 최씨 충렬공파) 집안에서 연락 오는 건 아닌지. 허허. 허구니까 그러지 않으시겠지.”
(私は全州チェ氏だ。ちょっと心配だ。そちら側(慶州チェ氏忠烈公派)家から連絡が来るのではないか?ははっ。虚構だからそんなことはされないだろう。)

【記事】『犯罪との戦争』チェ・ミンシク”一緒に生きていくのが本当の演技”

2012-02-10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movieweek●(韓国語)
『犯罪との戦争』チェ・ミンシク”一緒に生きていくのが本当の演技”


(※映画の本編のことも話されているのでご注意!)

최민식이 <범죄와의 전쟁>에서 배우 군단을 이끌고 나타났다. <취화선> <올드보이> <악마를 보았다>에서 고유의 뜨거운 에너지로 스크린을 가득 채웠던 그가 혼자 연기하는 것보다 함께 연기하는 게 더 즐겁다고 말한다.
(チェ・ミンシクが『犯罪との戦争』で俳優軍団を引き連れて現れた。『酔画仙』『オールド・ボーイ』『悪魔を見た』で固有の熱いエネルギーでスクリーンをいっぱいに満たした彼が、一人で演技することより共に演技する方がさらに楽しいと話す。)


영화 보니 어떤가?
(映画を見てどうか?)

>항상 쑥스럽지, 뭐. 잘라낸 장면이 많은데 좀 지루하더라도 더 길고 넉넉한 호흡으로 이야기를 끌고 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いつも恥ずかしいよ、もう。カットされた場面が多いが、少々退屈でも、もっと長くて豊かな呼吸で話を引っ張っていったらどうだったかなという心残りがある。)


최익현은 영화에서 1980년대 ‘부산 폭력배의 대부’라고 불린다. 제대로 악독하게 나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귀엽더라.
(チェ・イッキョンは映画で1980年代”釜山暴力団のボス”と呼ばれている。そのままあくどく出てくると思ったけど、思ったより可愛かったよ。)

>그래? 헤헤. 다행이다. 한 남자가 옛날 복덕방 같은 곳에서 자신의 무용담을 늘어놓는 느낌이 나길 바랐다. 옛날 복덕방은 동네 할아버지, 아저씨들이 모이는 장소 아니었나. 거기서 낮술에 취한 어떤 사내가 누가 듣든 말든 “내가 말이야 왕년에는~” 하면서 이빨을 까는 것 같은 느낌, 그 허세. 그러다 누군가 “어이, 최 씨, 그만 떠들고 집에 들어가!”라고 하거나, 그 사내의 아들딸이 사내를 찾으러 와서 황급히 자리를 뜨는 그 뒷모습에서 배어나오는 쓸쓸함. 최익현을 통해 그 허세와 쓸쓸함을 모두 표현하고 싶었다.
(そう?へへ。幸いだ。一人の男が昔不動産紹介所のようなところで自身の武勇伝を並べ立てる感じが出るように願った。昔不動産紹介所は町内おじいさん、おじさんが集まる場所じゃないか。そこで昼間酒に酔ったある男が、誰が聞こうが聞くまいが”俺がな、昔は~”と言いながら歯をむくような感じ、その虚勢。そうするうちに誰か”オイ、チェ氏!騒ぐのをやめて家に帰れ!”と言ったり、その男の息子や娘が男を探しに来てあわてて席をはずす、その後ろ姿がから染み出てくる寂しさ。チェ・イッキョンを通じてその虚勢と寂しさを全部表現したかった。)

영화의 마지막 장면, “대부님”이라는 소리에 카메라를 향해 고개를 돌리는 최익현의 얼굴에서 정확히 그런 느낌을 받았다. 완전히 사랑할 수도, 완전히 미워할 수도 없는 남자라고 할까.
(映画の最後の場面、”ボス”という声にカメラに向かって顔を向けるチェ・イッキョンの顔で正確にそんな感じを受けた。完全に愛することも、完全に嫌うこともできない男というだろうか。)

>그게 바로 우리 아버지 세대의 얼굴 아니겠나. 처음에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 그게 되게 짠하게 느껴졌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잘못을 정당화하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최익현만 해도 온갖 비리를 저지르고, 권모술수를 펼치며 살지 않나. 그의 삶은 분명 그릇되다. 그런데 여기서 기억해야 할 것은, 그들이 겪어온 세상 자체가 올바르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먹고살기 위해서,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그렇게 살 수밖에 없었다는 거다. 그 점에 연민을 느낀다.
(それがまさに私たちの父の世代の顔ではないか。初めにシナリオを読んだ時、それがかなり胸が痛く感じられた。かと言って彼らの誤りを正当化しようという話ではない。チェ・イッキョンだけ見てもあらゆる不正を犯して、権謀術数を広げて生きているでないか。彼の人生は明らかに誤っている。ところでここで覚えて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は、彼らが経験した世の中自体が正しくはなかったという点だ。生きるために、家族を守るためには、ある程度そう生きるほかはなかったということだ。その点に憐みを感じる。)


확실히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는 느낌이 다르다. <대부> 시리즈나 <카지노>(1995) 같은 영화의 갱스터들은 카리스마를 뽐내는데, 이 영화의 건달들은 먹고 살기 위해 진창을 구르는 느낌이다.
(確かにハリウッドのギャングスター映画とは感じが違う。『ゴッドファーザー』シリーズや『カジノ』(1995)のような映画のギャングスターはカリスマを誇るが、この映画のごろつきは生きるためにぬかるみを転がる感じだ。)


>그렇지. 할리우드 갱스터가 대형마트를 놓고 싸운다면, 이 영화의 건달들은 구멍가게를 놓고 싸운다고 할까.(웃음) 그래서 더 짠하게 느껴지는 거지. 그런데 혹시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라는 제목이나 마초 같은 사내들이 떼를 지어 걷는 포스터를 보고 이 영화를 전형적인 누아르, 갱스터 영화로 생각하는 관객이 있을까 걱정이다.
(そうだろ。ハリウッドのギャングスターが大型マートを置いて戦うならば、この映画のごろつきは雑貨屋を置いて戦うというだろうか(笑)。それでさらに胸が痛く感じられることだね。ところでひょっとして『犯罪との戦争~悪い奴ら全盛時代』という題名や、マッチョのような男が群れを成して歩くポスターを見て、この映画を典型的なノアール、ギャングスター映画として考える観客がいるのか心配だ。)



윤종빈 감독만 해도 1979년생 아닌가. 주요 배역을 맡은 배우 중에 1980년대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는 사람은 당신이 유일하지 않나?
(ユン・ジョンビン監督でも1979年生まれでないか。主な配役を引き受けた俳優の中に、1980年代を鮮明に記憶している人はあなたが唯一ではないか?)


>난 198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니까 그 시절에 대한 추억이 있다. 하지만 다른 배우들이 1980년대를 잘 모르는 게 장애가 되지는 않았다. 물론 미술, 의상, 헤어, 메이크업 같은 외적인 부분에서는 1980년대의 분위기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게 아주 중요했지만, 배우가 그 시대를 의식하면서 연기할 필요는 없었다. 사람들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거든. 사회 제도나 정치적 상황이 달라질 수는 있어도 그걸 겪는 사람 자체가 달라지지는 않으니까. 이 영화의 배우들이 1980년대라는 시대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기하길 참 잘했다고 생각한다.
(私は1980年代に大学に通っていたから、その時期に対する思い出がある。だが、他の俳優が1980年代をあまり知らないことが障害になることはなかった。もちろん美術、衣装、ヘアー、メイクアップのような外的な部分では、1980年代の雰囲気を正確に再現することはとても重要だったが、俳優がその時代を意識しながら演技する必要はなかった。人々は大きく変わらなかったんだよ。社会制度や政治的状況が変わることはできても、それを体験する人自体は変わりはしないから。この映画の俳優が1980年代という時代にしばられないで自然に演技するのが本当にうまかったと思う。)


과연 이 영화 최고의 볼거리는 적역 캐스팅으로 모인 여러 배우들이 한데 어우러져 펼치는 앙상블 연기다.
(なるほど。この映画最高の見どころは、適役キャスティングで集まった色々な俳優が一同に調和して広げるアンサンブル演技だ。)


>맞다! <범죄와의 전쟁>이라는 집을 짓는 데 있어 누구 하나 제 역할을 다하지 않은 배우가 없다. 근래 들어 ‘앙상블 연기라는 게 이런 것이다’ 하는 것을 제대로 보여준 최고의 영화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래서 진짜 기분 좋다!
(その通り! 『犯罪との戦争』という家を作るに当たり、誰一人自らの役割をつくさなかった俳優がいない。近代に入って”アンサンブル演技というのがこういうものだ”というのを満足に見せた最高の映画ではないかという気がする程だ。だから本当に気持ちが良い!)


배우들이 전부 신나서 연기하는 게 눈에 보인다.
(俳優が全員楽しく演技するのが目に見える。)


>‘좋은 공연을 보면 무대 뒤가 보인다’는 말이 있다. 좋은 공연을 보면 배우들이 어떤 분위기에서 어떤 식으로 연습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 헤아릴 수 있다는 뜻이다. <범죄와의 전쟁> 역시 카메라 뒤가 보이는 영화라고 확신한다. 내가 이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을 카리켜 ‘프로페셔널하다’고 하는 게 바로 그 때문이다. 연기라는 게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데, <범죄와의 전쟁>의 배우들은 누구 하나 잘난 척하는 사람 없이, 서로를 배려하며 상대의 호흡을 느끼면서 연기했다. 아주 대견하다. 특히 조범석 검사를 연기한 곽도원과 최형배의 오른팔 박창우를 연기한 김성균을 봐라! 곽도원은 <황해>(2010)에서 김승현 교수 역으로 잠깐 나왔다가 이번에 큰 역을 맡았고, 김성균은 이번에 처음 영화에 출연하는 건데 너무 잘해서 깜짝 놀랐다. 선배들이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안 되겠더라니까.(웃음)
(”良い公演を見れば舞台の後ろが見える”という言葉がある。良い公演を見れば俳優がどんな雰囲気でどんな方法で練習をどのくらい沢山したのか推し量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意味だ。『犯罪との戦争』も、やはりカメラの後ろが見える映画だと確信する。私がこの映画に出演した俳優を指して”プロフェッショナル”と呼ぶのがまさにそのためだ。演技というのは互いに調和を作り出すのが何より重要だが、『犯罪との戦争』の俳優は誰一人として偉ぶる人がいなくて、互いを配慮して相手の呼吸を感じながら演技した。とても大きいことした。特にチョ・ポムソク検事を演技したクァク・ドウォンとチェ・ヒョンベの右腕パク・チャンウを演技したキム・ソンギュンを見ろ!クァク・ドウォンは『黄海』(2010)でキム・スンヒョン教授役として少し出たが、今回大きな役を担ったし、キム・ソンギュンは今回初めて映画に出演するのにとても上手でビックリした。先輩たちが気をしっかり引き締めなくてはならなかったんだよ(笑)。)



하정우와 함께 연기한 느낌은 어땠나?
(ハ・ジョンウとともに演技した感じはどうだったか?)


>좋았다, 진짜. 하정우는 외모나 연기하는 방식이 굉장히 멋스럽지 않나. 표현도 아주 정확하고. 그래서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친구다. 40대가 되고 중년에 접어들면 진짜 ‘폼’ 나는 배우가 될 것 같다. 40대 남자 배우, 그거 괜찮거든! 결혼도 하고 인생의 굴곡을 맛보면 남자가 영글면서 확 수컷 냄새가 나기 시작한다. 40대 남자에게는 20대, 30대의 남자와는 비교할 수 없는 멋이 있거든.(웃음)
(良かった、本当に。ハ・ジョンウは外見でも演技するスタイルがとても素敵じゃないか。表現もとても正確で。だから今後がさらに期待される後輩だ。40代になって中年になれば本当にカッコイイ俳優になりそうだ。40代の男優、それ大丈夫だから!結婚もして人生の屈曲を味わえば、男が成熟しながらフッと雄のニオイがし始める。40代男には20代、30代の男とは比較できないカッコ良さがあるから(笑)。)


최익현이 수많은 인물을 일대일로 상대하는 장면이 많은데, 그 많은 배우 중 누구 하나 ‘최민식’ 앞에서 쪼는 사람이 없더라.
(チェ・イッキョンが数多くの人物を一対一で相手にする場面が多いが、その多くの俳優の中誰一人”チェ・ミンシク”の前で居眠りする人はいなかったよ。)


>허허허허. 아니 내가 뭐라고, 내 앞에서 왜 쫄아? 하하하.
(ははははっ。いや、私が何だって?私の前でなぜ眠い?ハハハ)

살인마 장경철로 분한 <악마를 보았다>(2010)에서는 대부분의 장면에서 홀로 스크린을 꽉 채우는 존재감을 보였다면, <범죄와의 전쟁>에서는 수많은 등장인물들을 번갈아 상대하며 상대 배우에게서 최고의 연기를 뽑아내는, 놀라운 탄력을 선보이는 느낌이다. 전자의 연기와 후자의 연기를 하는 맛이 어떻게 다른가?
(殺人魔チャン・ギョンチョルに扮した『悪魔を見た』(2010)では多くの場面で、単独でスクリーンをぎゅっと満たす存在感を見せたとすれば、『犯罪との戦争』では数多くの登場人物をかわるがわる相手にして、相手俳優から最高の演技を抜き取る、驚くべき弾力をリリースする感じだ。前者の演技と後者の演技をする味がどう違うのか?)


>‘독고다이’로 연기하는 건 재미없다. 너무 외롭다. 그건 결코 좋은 연기가 아니다. 앙상블 연기가 훨씬 재미있다. 속된 말로 같이 먹고살아야 영화 전체, 배우 전체가 폼 나 보이는 거 아니겠나.(웃음)
(”一匹狼”で演技するのはつまらない。とても孤独だ。それは決して良い演技ではない。アンサンブル演技がはるかに面白い。俗っぽい言葉で一緒に生きてこそ映画全体、俳優全体が格好よく見え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笑)。)


<범죄와의 전쟁>의 다른 배우들 전부 그 진리를 깨달은 것 같다. 다들 최민식이란 배우를 칭송하기 바쁘더라.
(『犯罪との戦争』の他の俳優全員その真理を悟ったようだ。みんなチェ・ミンシクという俳優を称賛するのにせわしかったよ。)


>내가 술 좀 사니까 그런 거다. 내가 살기 위해서 술 좀 샀다. 내가 살기 위해서. 흐흐흐.
(私が酒をちょっと奢るからそうなんだよ。私が生きるために少し酒を奢った。私が生きるために。フフフ・・・)


<범죄와의 전쟁>의 배우들뿐만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최민식이란 이름은 ‘진짜 연기’, ‘좋은 연기’의 대명사가 돼버린 지 오래다. 배우들 인터뷰를 하다 보면 당신이 술자리에서 한 말을 ‘진짜 연기’의 철칙처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犯罪との戦争』の俳優だけだけでない。我が国でチェ・ミンシクという名前は”本当の演技”、”良い演技”の代名詞になってしまってから久しい。俳優にインタビューをしてみるなら、あなたが酒の席でした話を”本当の演技”の鉄則のように話す場合が多い。)


>술자리에서 내가 뭐라고 떠들었는지 기억도 잘 안 나는데. 흐흐흐. 배우라는 직업이 참 외롭다. 그래도 나는 대학에서 정식으로 연기를 배우고, 극단 생활을 했으니 처음부터 선배, 후배, 동기들과 함께 부딪치면서 덜 외롭게 연기해 온 편에 속한다. 또 그동안 나이 먹으면서 개똥 철학이지만, 배우로서 나만의 주관도 생겼고. 그래서 뭔가에 휘청거리고 외로울 때 그래도 붙잡고 고집을 부릴 만한 밑천이 좀 있다. 그런데 어린 나이에 갑자기 스타덤에 오른 친구들은 뭐가 뭔지 몰라서 괴로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 곁에서 잡아주는 게 선배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 술자리에서 배우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는 후배를 만나면 얼마나 기특하겠나? 하루아침에 스타가 됐다가 그 다음 날 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지는 게 다반사인 연예계에서 배우로 살아남으려면 자기만의 주관이 있어야 한다. 연기를 왜 하는지, 연기를 통해서 무엇을 얻는지, 연기라는 작업의 의미가 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거다. 그런 고민을 하는 예쁜 후배를 만나면 가차없이 뻐꾸기를 날려줘야 한다! 술도 막 먹이고! 으하하하하하.
(酒の席で私が何か騒いだのか、よく思い出せないのだけど。フフフ。俳優という職業は本当に孤独だ。それでも私は大学で正式に演技を学び劇団生活をしたので、初めから先輩・後輩・同期たちと共にぶつかりながら、そんなに孤独でなく演技してきた方だ。またその間年を取りながら、つまらない哲学だが俳優として自分だけの主観もできたし。だから何かによろめき孤独な時、それでも捕まり我を張るほどの基礎が少しある。しかし幼くして突然スターダムに上がった仲間は、何が何か分からなくて苦しむ場合が多い。そんな時、側で支えてあげるのが先輩の役割だと思う。だから酒の席で俳優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に対する悩みを打ち明ける後輩に会えば、どのくらい奇特だろうか?一日でスターになって、その次の日の朝、奈落に落ちるのが茶飯事である芸能界で俳優として生き残ろうとするなら、自分だけの主観がなければならない。演技を何故するのか、演技を通じて何を得るのか、演技という作業の意味が何か真剣に悩ま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だ。そんな悩みを持つかわいい後輩に会えば、容赦なくお世辞を言ってあげなければならない!酒もむちゃくちゃ飲ませて!ワハハハハハ。)

안 예뻐 보이는 후배도 있나?
(かわいくないような後輩もいるのか?)


>촬영장에 일찍 오는 게 뭔가 폼 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배우들이 있는데, 그런 개념은 도대체 언제 어디서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겠다. 그런 데 신경 쓰는 건 연기하는 데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짓이다. 그런 것에 신경 쓰면서 어떻게 좋은 연기를 할 수 있겠나? 촬영장에 일찍 올 수 있는데도 주연 배우라고 해서 일부러 느지막이 오는 건 소속사에서도 잘못하는 거다. 배우를 망치는 지름길이다.
(撮影現場に早く来るのが何か格好悪いと考える俳優がいるが、そのような概念は一体いつどこで誰が作ったのかと思う。ところで気を遣うことは、演技するのにどのパートナーに対しても不必要なことだ。そんなことに気を遣いながら、どうして良い演技ができるだろうか?撮影現場に早く来ることができるときも、主演俳優だからと言ってわざわざ遅くくるのは、所属会社からしても間違っていることだ。俳優を亡ぼす近道だ。)

‘우리나라 최고 배우’라는 말을 들으면 기분이 솔직히 어떤가?
(”我が国最高の俳優”という言葉を聞くと、率直にどんな気持ちなのか? )


>칭찬해 주니까 고맙긴 한데, 사실 연기에 최고가 어디 있나? 송강호 김윤석 설경구 김명민 하정우 류승범이 다 다른 색깔과 소리를 내는데, ‘연기를 잘했다, 못했다’고는 할 수는 있어도 순위를 매길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범죄와의 전쟁>에서 내가 연기한 최익현이 정답은 아니다. 나는 이렇게 표현했지만, 송강호 설경구 김윤석이 연기했다면 다 다른 최익현이 나왔을 거다. 더구나 <살인의 추억>(2003)의 송강호, <올드보이>(2003)의 최민식, <박하사탕>(2000)의 설경구를 놓고 우열을 가리는 건 무의미한 일이다. 삶이 그렇듯 연기도 내가 지금까지 깨우친 것보다 앞으로 알아갈 것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연기에 대해 아직 모르는 게 너무 많은데 벌써 ‘최고’라고 얘기하면, ‘더 이상 연기할 게 없다’는 소리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称賛してくれるから有難いことは有難いが、実際に、演技の最高がどこにあるのか?ソン・ガンホ、キム・ユンソク、ソル・キョング、キム・ミョンミン、ハ・ジョンウ、リュ・スンボムが皆違う色と声を出すが、”演技が良い、悪い”と言うことはできても順位を付けることはできない。例えば『犯罪との戦争』で私が演技したチェ・イギョンが正解ではない。私はこう表現したが、ソン・ガンホ、ソル・キョング、キム・ユンソクが演技したとすれば、皆違ったチェ・イギョンが出てきただろう。しかも『殺人の追憶』(2003)のソン・ガンホ、『オールド・ボーイ』(2003)のチェ・ミンシク、『ペパーミントキャンデー』(2000)のソル・キョングを置いて優劣をつけるのは無意味なことだ。人生がそうみたいに、演技も私が今まで悟ったことより、今後知っていくことがより多いと思う。演技に対してまだ分からないのがあまりにも多いがすでに”最高”と話せば、”これ以上こと演技することがない”という声として受け入れることもできる。)


사람들이 흔히 ‘최민식의 연기는 뜨겁다’고 말하지 않나. 스스로도 그렇게 생각하나?
(人々がよく”チェ・ミンシクの演技は熱い”と言うじゃないか。自分でもそう思うのか?)


>내 연기가 뜨겁다고? 난 미지근한 것 같은데? 미적지근~.
(私の演技が熱いって?私はぬるいようだけど?生ぬるい~)


도대체 어떤 점이 미지근하다는 건가?
(一体どの点がぬるいということなのか? )


>예를 들어 연기를 악기 연주라고 치면, 악보대로 정확히 연주하는 게 중요한 거 아니겠나. 악보에 적힌 대로 음이 높아지기도 했다가 음이 낮아지기도 하고 그 상황, 그 정서에 맞는 음을 내는 거지. 지금까지 내가 연기한 작품을 돌아보면 자극적이고 강렬한,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 같은 작품을 많이 한 것 같기는 한데, <꽃피는 봄이 오면>(2004) 같은 영화에서는 그래도 좀 미적지근했잖나.(웃음) ‘뜨거운 연기를 하는 배우’라고 규정되는 게 썩 기분 좋지는 않다.
(例えば演技を楽器演奏だとすれば、楽譜のとおり正確に演奏するのが重要なのではないのではないか。楽譜に書かれた通り音が高まったりもしたり音が低くなったりして、その状況、その情緒に合う音を出すことだね。今まで私が演技した作品を振り返れば、刺激的で強烈なベートーベンの「運命交響曲」のような作品を沢山演じた感じではあるが、『花咲く春が来れば』(2004)のような映画では、それでもちょっと生ぬるかったじゃないか(笑)。”熱い演技をする俳優”と規定されることが、あまり気分は良くない。)


<꽃피는 봄이 오면>의 현우도 굉장히 따뜻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花咲く春が来れば』のヒョヌもとても暖かかったものとして記憶しているが?)


>그건 아마도 내가 선천적으로 타고난 외모, 목소리, 기운이 그렇기 때문일 거다. 안 되겠네. 다음에는 드라이아이스처럼 아주 그냥 차가운 거 한 번 해야겠다!(웃음)
(それは恐らく私が先天的に持って生まれた容貌、声、気勢がそうである為だろうね。ダメだね。次はドライアイスのようにとても冷たいものを一度してみなければ!(笑))

【記事】うわべだけの俳優、チェ・ミンシクの”半分の半分だけ”似てください(インタビュー②)

2012-02-09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newsen●(韓国語)
「うわべだけの俳優、チェ・ミンシクの”半分の半分だけ”似てください(インタビュー②)」


>최민식과 인터뷰를 진행됐던 시간은 오후 5시. 다소 출출해질 때이기도 했지만 최민식은 릴레이 강행군으로 식사조차 제대로 못하고 있었다. 때문에 테이블에는 떡볶이와 김밥, 튀김에 순대까지 분식이 한 상 차려졌다.
(チェ・ミンシクとインタビューを進行した時間は午後5時。多少お腹がすく時間だったが、チェ・ミンシクはリレー強行軍で食事さえまともにとれずにいた。そのためテーブルにはトッポッキと海苔巻き、天ぷらにスンデまでプンシク(=簡単な料理)が準備された。)

>왠지 무조건 한식만 챙겨먹을 것 같은 그에게 "이런 음식도 좋아하냐" 물었더니 최민식은 "얼마나 좋아하는데!"라고 받아치면서 "뭐든 잘 먹기는 하지만 분식을 참 좋아한다. 잘 먹기만 하게? 하기도 잘 한다"고 크게 웃었다.
(なぜか無条件に韓国料理だけ準備して食べるような彼に、”こんな食べ物も好むのか”と尋ねたところチェ・ミンシクは、”どれくらい好きというか!”と受け返しながら、”何でもよく食べるがプンシクを本当に好む。よく食べるばかりに?作るのも上手だ”と大きく笑った。)



>사실 최민식과 인터뷰를 하기 이틀 전, 같은 장소 3층에서는 하정우 인터뷰가 있었다. 3층에 가기 위해 거쳐야 하는 2층에서 큰 리액션, 큰 목소리로 열변을 토하는 최민식에 깜짝 놀라 다시 1층으로 냉큼 내려갔을 때, 순간 '저렇게 열심히 하면 나중에 지칠텐데'라는 생각이 불현듯 스쳐 지나갔다.
(事実チェ・ミンシクとインタビューをする2日前、同じ場所の3階ではハ・ジョンウのインタビューがあった。3階に行くために通らなければならない2階で大きなリアクション、大声で熱弁を語るチェ・ミンシクにびっくりして再び1階にすぐ降りて行った時、瞬間、”あんなに熱心に話せば後で疲れるはずなのに”という考えが突然通り過ぎた。)

>하지만 인터뷰 3일째, 다소 늦은 타임에 진행된 상황에서 최민식은 지치기는 커녕 첫 날보다 오히려 더 신나 있었다. 털어놓을 말이 그렇게도 많은 것인지 쉬지않고 쏟아지는 최민식 표 가르침에 '뭐 이런 괴물같은 배우가 있나' 싶었다. 인터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배우도 사람인지라 지쳐가는 것이 눈에 보이고 때문에 답변이 짤막해 지는 것은 부지기수다. 그들을 이해해온 상황에서 최민식의 등장은 눈물날 정도의 존경심을 동반했다.
(だがインタビュー3日目、多少遅れた時間に進行された状況で、チェ・ミンシクは疲れるどころか初日よりかえってさらに楽しくなっていた。打ち明ける言葉がそんなにも多いことなのか休みもせず、溢れるチェ・ミンシク印の教えに、”こんな怪物のような俳優がいるか”と思った。インタビューの時間が過ぎれば過ぎるほど、俳優も人であるから疲れていくことが目に見えているために返事が少し短くなるのは頻繁にあることだ。彼らを理解してきた上で、チェ・ミンシクの登場は涙が出るほどの尊敬心を伴った。)

>촬영장이라고 달랐을까. 최민식은 현장에서 후배들을 아우르는 타입이지만 누구 한명의 일탈로 분위기 전체가 망가진다면 '강력한 응징'을 행사한단다. 이는 일침이 될 수도 있고 아주 가끔 무력이 될 수도 있다. "에이, 요즘은 때리면 난리납니다. 연극판 시절에는 진짜 많이 맞으면서 컸는데.." 최민식의 한숨이 조금 늘었다.
(撮影現場だと違ったのだろうか。チェ・ミンシクは現場で後輩に合わせるタイプだが、誰か1人の逸脱で雰囲気全体が壊れるならば”強力な報復”を行使するのだ。これは厳しい忠告になることもあるし、時に武力にもなり得る。”ええい、最近は殴れば大事になります。演劇時代には本当にたくさん殴られて育ったのだが・・・”チェ・ミンシクのため息が少し増えた。)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다
(わからないのは”罪”ではない)


>최민식은 조진웅과의 1대 1 호흡에 짜릿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가끔 자신의 대사만 챙기는 배우들이 있는데 대사도 곧 말하는 것. 대화는 상대방과 내가 함께 하는 것이지 절대 혼자 할 수 없는 것이다. 가장 쉬우면서 어려운 '받아치기'를 조진웅은 완벽하게 성공했다.
(チェ・ミンシクはチョ・ジヌンとの1対1の呼吸に刺激を感じたと話した。時々自分の台詞だけ取りまとめる俳優がいるが、台詞もすなわち話すこと。対話は相手方と自分が一緒にすることであって、絶対一人でできないことだ。最も簡単でありながら難しい”受け返し”をチョ・ジヌンは完璧に成功した。)


>실제 영화에서도 최민식 하정우에 비해 진짜 부산남자들의 냄새를 제대로 느낄 수 최민식 조진웅 케미스트리가 돋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実際映画でもチェ・ミンシク、ハ・ジョンウに比べて本当の釜山男の臭いをまともに感じるチェ・ミンシク、チョ・ジヌンのケミストリーが引き立って見えたのが事実だ。)

>"운동경기로 치면 축구 농구 배구, 뭐든간에 목표는 골을 넣는 것이다. 자기 팀의 승리를 위해서는 골을 넣어야 하고 그렇다면 혼자 잘났다고 뛰어가면 안된다. 던질 준비, 또 받을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연극을 할 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상대의 대사를 들어! 듣고 해, 혼자하지 말고'라는 것이었다. 일상 생활에서는 잘만 수다 떨면서 꼭 연기만 하면 카메라 의식하면서 자기 대사만 치려고 한다. 안되는 사람이 태반이다."
(”運動競技とすればサッカー、バスケットボール、バレーボール、何でもかんでも目標はゴールを入れることだ。自分のチームの勝利のためにはゴールを入れなければならなくて、それなら一人で秀でているからと走っていってはいけない。投げる準備、また受ける準備をしていなければならない。演劇をしている時に最も多く聞いた言葉が、”相手の台詞を聞け!聞いて演じろ!一人でせずに”というものだった。日常生活でよく無駄口をたたきながら演技をすれば、カメラを意識しながら自分の台詞だけ喋ろうとする。ダメな人が大半だ。”)

>최민식은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지만 알면서도 고치려 하지 않는 것이 제일 나쁘다고 평가했다. 모른다 싶으면 가르쳐준다. 다만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상대방의 몫이다.
(チェ・ミンシクは、分からないのは罪ではないが、分かりながらも直そうとしないことが一番悪いと評価した。分からないのならば教える。ただし、これをどのように受け入れるのかは相手方の役割だ。)



"기가막힌 전투력 상실..못 참아"
(”呆れる戦闘力喪失・・・我慢できない”)


>"영화는 팀이다. 단체, 즉 그룹이 하는 예술이자 창작이다. 화합이 제일 중요하다"
(”映画はチームだ。団体、すなわちグループがする芸術であり創作だ。和合が一番重要だ”)

>최민식은 사람과 사람이 함께 작업하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배우 감독 스태프 등 '이쪽 계통'은 누구랄 것 없이 섬세하고 개성이 강하다. 자기 것을 양보한다는 것 자체가 참 힘들단다. 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묘미'가 있다. 싸움도 그 중 하나다.
(チェ・ミンシクは人と人が共同作業することがどれくらい大変なのかよく分かっていると話した。特に俳優・監督・スタッフなど”そちらの系統”は、誰だと関係なく繊細で個性が強い。自分のことを譲歩するということ自体が本当に大変だ。だが簡単ではないことなので”妙味”がある。ケンカもそのうちの一つだ。)

>"이유있는 감독과의 충돌은 아무리 선배라도 기다려 줘야한다. 만약 해당 장면이나 캐릭터가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다면 연기 자체가 엉망이되기 때문이다. 근데 생각없이 콜타임에 늦는다던가, 일찍 오는 것을 자존심 상하는 행동이라 생각하는 것은 '대체 어디서 배워먹은 버르장머리'인지 모르겠다. 아무짝에 쓸모없는 배우와의 경쟁 역시 혼나 마땅하다. 이를 유도하는 매니저? 더 나쁘다"
( ”理由ある監督との衝突は、いくら先輩でも待ってあげなければならない。もし該当のシーンやキャラクターがどうしても理解できないのならば、演技自体がめちゃくちゃがなるためだ。ところで考えなしにコールタイム(集合時間)に遅れるとか、早く来るのをプライドが傷つけられる行動だと考えるのは、”いったいどこで習ってきた悪い行儀”なのかと思う。どっちにしてもくだらない俳優との競争は、ひどい目にあって当然だ。これを誘導するマネジャーはもっと悪い”)

>최민식의 처음과 끝은 '연기' 딱 하나였다. 쓸데없는 생각을 갖고있으면서 연기 잘하는 사람 못봤다는 것이 그의 지론. 겉멋든 배우들이 꼭 한번 최민식과 한 작품에서 '열연' 하기를, 성품 반의 반만 닮으려 노력해보기를 기대한다.
(チェ・ミンシクの最初と最後は”演技”ただ一つであった。無駄な考えを持っていながら演技を上手くする人を見たことがないというのが彼の持論。うわべだけの俳優が是非一度チェ・ミンシクと一つの作品で”熱演”することを、性分の半分の半分だけ似せようと努力してみることを期待する。)

>단 한명의 낙오없이 배우들의 보석같은 연기가 빛나는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는 1980년대부터 90년대, 노태우 대통령이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하기 전 격동의 시대 10년간 부산을 장악한 나쁜 놈들의 피보다 진한 의리와 배신을 그린 작품이다.
(ほんの1人の落伍もなく、俳優の宝石のような演技が光る『犯罪との戦争~悪い奴ら全盛時代』は、1980年代から90年代、ノ・テウ大統領が「犯罪との戦争」を宣言する前、激動の時代10年間の釜山を掌握した悪い奴らの血より濃い義理と背信を描いた作品だ。)

【記事】チェ・ミンシク、”両親が亡くなっても嬉しいフリ、どれだけ殺伐か”(インタビュー①)

2012-02-09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newsen●(韓国語)
「チェ・ミンシク、”両親が亡くなっても嬉しいフリ、どれだけ殺伐か”(インタビュー①)」


>최민식이 배우의 자세에 대한 열변을 토했다. 100% 정답은 없지만 최소한의 예의는 있다. 배우가 배우라는 것을 스스로 인식했을 때, 연기는 짙은 향기를 고스란히 내뿜는다.
(チェ・ミンシクが俳優の姿勢に対する熱弁を吐いた。100%の正解はないが最小限の礼儀はある。俳優が俳優ということを自ら認識した時、演技は濃厚な香りを余すことなく噴き出す。)



>최민식은 최근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번 영화를 촬영하면서 후배들에게 큰 고마움을 느꼈다. 한 몫 단단히들 하고 빠졌다. 선배 입장에서 그렇게 고마울 수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チェ・ミンシクは最近三清洞の、とあるカフェで進行されたインタビューで、「今回、映画を撮影しながら後輩に沢山の有り難みを感じた。一役をしっかり演じてハマった。先輩の立場でそんなに有難くなれなかった」と繰り返し強調した。)

>최민식이 말한 후배는 영화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의 전성시대'에서 함께 호흡한 '나쁜놈들'이다. 하정우를 필두로 조진웅 마동석 곽도원 김성균 등은 열연이라 말하기에도 부족한 명품 연기를 펼치며 보석같은 존재감을 뽐낸다. 어이가 없을 정도로 단단한 연기. 최민식은 그들을 이끄는 수장이었다.
(チェ・ミンシクが話した後輩とは、映画『犯罪との戦争~悪いやつら全盛時代』で一緒に呼吸した”悪いやつら”だ。ハ・ジョンウを筆頭にチョ・ジヌン、マ・ドンソク、クァク・ドウォン、キム・ソンギュン等は熱演だと言っても足りない名品の演技をし、宝石のような存在感を誇る。呆れるほど骨太な演技。チェ・ミンシクは彼らを導く首長だった。)

>"배우들의 앙상블은 작품을 이끄는 힘이다. 현장에서 늘 대화를 통해 호흡을 맞추지만 결국은 본인이 알아서 잘 해야 한다. 연기를 누가 대신 해줄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그런 면에서 이번에 함께 한 후배들은 그저 고맙다. 내가 영화 내내 한 신도 빠짐없이 나와 긴 호흡을 유지한다면, 후배들은 그 사이 사이 나와 앙상블을 잘 이뤄주고 빠진다. 촬영하면서 참 많이 행복했다."
(「俳優のアンサンブルは作品を導く力だ。現場でいつも対話を通じて呼吸を合わせるが、結局は本人が理解して上手にすべきだ。演技を誰かが代行することはできない職ではないか。そういった面で今回一緒に演じた後輩はただ感謝だ。私が映画の終始ずっと、一シーンももれなく出演して長い呼吸を維持するならば、後輩はその間、間に出てきて、アンサンブルをうまく成し遂げて陥る。撮影しながら本当に沢山幸せだった。」)

>특히 하정우에 대해 최민식은 "정우는 현재 30대 배우들 중 선두주자에 서서 톱 클래스 반열에 오른 연기자다. 속된말로 '최민식 따까리' 안하고 싶으면 안할 수 있는 위치다"며 "하지만 하정우는 그렇지 않았다. 모든 부분에서 최선을 다했다. 연기도 너무 잘하지 않나.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분명 아니다."
(特にハ・ジョンウに対してチェ・ミンシクは、「ジョンウは現在30代俳優の中で先頭走者に立ち、トップクラスに上った演技者だ。俗な言い方で「チェ・ミンシクのパシリ」演じたくなければしないこともある位置だ」とし、「だが、ハ・ジョンウはそうではなかった。すべての部分で最善を尽くした。演技もとても上手にするではないか。誰もができることとは明らかに違う。」)

>최민식에 앞서 진행된 하정우와 인터뷰에서 하정우는 "최민식 선배님에게 배우지 않을 점은 없었다"며 "단 한번도 어긴 적 없는 정확한 콜타임과 타협없이 몸소 부딪치는 연기는 대단하다는 말도 아까울 정도였다"고 말했다. 이 같은 말을 전하자 최민식은 쑥스러운 듯 멋쩍은 미소를 짓더니 "걔도 똑같이 그러고 다닌다"고 화답했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지만 두 배우는 더 숙일 고개도 없어 보였다.
(チェ・ミンシクに先立ち行われたハ・ジョンウとインタビューで、ハ・ジョンウは、「チェ・ミンシク先輩から学ばない点はなかった」とし、「たった一度も破ったことがない正確なコールタイム(集合時間)と妥協なしに一生懸命ぶつかる演技は、スゴイという言葉も惜しいほどであった」と話した。この話を伝えるとすぐにチェ・ミンシクは照れくさそうにぎこちない微笑を浮かべ、「ジョンウも同じくそう通った」と答えた。稲は熟すほど頭を下げるというが、2人の俳優はさらに下げる頭もない程に見えた。)



>최민식은 배우의 프로패셔널한 마인드가 곧 관객들과의 소통으로 이어지고, 이는 또 그들의 금전적인 문제와 직결된다고 설명했다. '책임' 배우에게 이 두 단어는 연기다. 때문에 연기를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얼만큼 치열하게 하느냐가 영화의, 또 배우의 승패를 가른다.
(チェ・ミンシクは俳優のプロフェッショナルなマインドがまっすぐ観客との疎通につながり、これはまた、彼らの金銭的な問題と直結すると説明した。”責任”、俳優にとってこの二文字は演技だ。だから演技が上手にできないのかを離れてどのくらい激しくするかが映画の、また俳優の勝敗を分ける。)

>"우리는 부모님이 돌아가셔도 마인드를 바꿔 행사에 가야하는 사람들이다. 객관적으로 말해서 연기는 우리의 직업이다. 직업이 얼마나 무섭냐. 책임감이 따르고 그만큼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다. 자기 자신에게 철저해야한다는 뜻이다. 돈을 받고 고용당하는 우리는, 돈을 내고 극장에 오는 관객들을 위해 최소한의 문화적 서비스를 해내야 한다. 돈과 시간을 아깝게 하지 않고 보내는 것이 우리의 가치다. 얼마나 살벌한 얘기인가. 그걸 인식하는 순간 이 일은 더 이상 취미로 할 수 없다."
(「私たちは両親が亡くなってもマインドを変えてイベントに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者だ。客観的に話して演技は私たちの職業だ。この職業がどれくらい恐ろしいのか。責任感に従い、それだけに失敗が許されない。自分自身に徹底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意味だ。お金を受け取って雇用されている私たちは、お金を出して劇場に来る観客のために最小限の文化的サービスをやり遂げなければならない。お金と時間を惜しまず送ることが私たちの価値だ。どれくらい殺伐な話なのか。それを認識する瞬間、このことはそれ以上趣味ではできない。」)

>물론 취미로 하는(듯한) 배우들은 차고 넘쳤다. 어떤 것이 중요한지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스스로에 대한 평가보다 남의 평가에 의존하는 성향이 짙다. 남이 잘한다면 진짜 잘하는 줄 아는 안일함. 최민식은 "그런 친구들은 전혀 치열하지 못하다"며 "목숨걸고 하는 애들은 정말 제 목숨이라도 내 놓을 것처럼 연기한다. 농도가 다를 수밖에 없고 뭘 해도 진하게 배우 나온다. 나이와 전혀 상관 없다"고 지적했다.
(もちろん趣味でする(ような)俳優は沢山溢れた。どんなものが重要なのか認知できないのはもちろん、自らに対する評価より他人の評価に依存する指向が強い。人が上手だと言えば、本当に上手だと思う安直さ。チェ・ミンシクは、「そんな同僚は全く勢いがない」とし、「命をかけて演技する後輩たちは本当に自分の命でも出すかのように演技する。濃度が違わざるをえなくて何をしても濃く俳優が出てくる。年齢と全く関係ない」と指摘した。)

>화끈했다. 낮간지러운 소리를 곧잘 하면서도 아닌 것은 아니었다.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렸고 중간이 없었다. 함박웃음에 박장대소까지 흡사 옆집 아저씨같은 편안함도 있었지만, 배우와 연기에 관해 논할 때만큼은 '호랑이 선생님'이었다. 후배들이 존경하는 선배. 사실 무서움이나 그에 따른 부담스러움을 느낀다면 이는 '존경'으로 이어지기 힘들다. 최민식은 현장에서 과연 어떤 선배길래 '이구동성' 같은 평이 나오는 것일까.
(熱かった。照れくさい声をたびたびしながらも駄目なのは駄目だった。好き嫌いが克明に分かれたし、中間がなかった。大笑いに拍掌大笑まで、まるで町内のおじさんのような気軽さもあったが、俳優と演技に関して論じる時だけは”虎先生(鬼教師)”だった。後輩が尊敬する先輩。実際恐怖やそれにともなう負担を感じるならば、これは”尊敬”に繋げることは難しい。チェ・ミンシクは現場で果たしてどんな先輩なのか、”異口同音”のような評が出てくるのだろうか。)

【記事】チェ・ミンシク、”私が崩れれば全滅するという考えに・・・”(インタビュー)

2012-02-05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newsen●(韓国語)
「チェ・ミンシク、”私が崩れれば全滅するという考えに・・・”(インタビュー)」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악마를 보았다'.. 제목만 봐도 기 빨리게 만드는 영화들은 아직도 대중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オールド・ボーイ』、『親切なクムジャさん』、『悪魔を見た』・・・題名だけを見ても生気を吸われる映画は、今でも大衆の肝を冷やす。)

>잔인함 무서움이라는 단어로도 설명이 되지 않는 그의 연기. 잊혀질만 하면 관객들 앞에 조용히 모습을 드러냈던 최민식이 이번에는 다소 '발랄'하게 스크린으로 돌아왔다. 물론 전작들의 강렬함이 너무 거세 이번 작품이 애교스럽게 보이는 것일 수도. 무려 깡패 영화에 하정우와 뭉쳤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残忍で恐ろしいという単語でも説明にならない彼の演技。忘れられそうだと思ったら観客の前に静かに姿を現したチェ・ミンシクが、今回は多少”ハツラツ”とスクリーンに戻って来た。もちろん前作の強烈さがとても激しく、今回の作品が可愛らしく見えるということも。何とチンピラ映画にハ・ジョンウと一つになったにも関わらずだ。)

>'무서운 배우'라는 인식을 자리잡게 한 최민식. 그의 연기력을 누가 감히 평가할 수 있겠냐만은 피비린내 나는 악랄함을 상상했던 그 이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배우가 과연 몇이나 있을까 싶다. 연기를 너무 잘해 자초된 일. "제가 지금 마구 떠들고 있지만 다른 한 쪽 머리로는 기자님들을 스캔하고 있거든요. 으하하." 그와의 인터뷰는 눈물날만큼 감동적이었지만 5분의 한번 꼴로 터뜨린 명언은 머리카락을 쭈뼛 서게 만들었다.
(”恐ろしい俳優”という認識を位置付けるようになったチェ・ミンシク。彼の演技力を誰が大胆にも評価できるのかというと、生臭い血のニオイがする悪辣さを想像した以上に表現できる俳優が果たして何人いるのかと思う。上手に演じて初心に戻ること。”私が今しきりに騒いでいるが、もう一方の頭では記者をスキャンしているんですよ。ワハハ。”彼とのインタビューは涙が出るくらい感動的だったが、5分に1度ずつ炸裂する名言は髪の毛をピンッと立たせた。)



>1월 27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최민식은 전작 '악마를 보았다'와 비교 했을 때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의 전성시대'에서는 연기할 당시 캐릭터 자체가 주는 압박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상황 설정에 대한 압박은 보통이 아니었다는 것.
(1月27日ソウル三清洞の、とあるカフェで進行されたインタビューでチェ・ミンシクは、前作『悪魔を見た』と比較した時、『犯罪との戦争~悪いやつら全盛時代』では演技する当時キャラクター自体が与える圧迫はなかったと説明した。ただ、状況設定に対する圧迫は普通ではなかったとのこと。)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의 전성시대'(감독 윤종빈)에서 최민식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남자의 야망과 허세, 또 가정에서 아버지로서 지켜내야 하는 숙명 등을 제대로 버무린다. 특히 130분 가량의 러닝타임을 최전선에서 이끌고 나가야 하는 부담감 속에서도 물고 뜯기고 때리고 맞고 뛰고 그야말로 할 수 있는 모든 액션을 고스란히 소화하는 최민식의 연기는 혀를 내두를 정도다.
(『犯罪との戦争~悪いやつら全盛時代』(監督ユン・ジョンビン)でチェ・ミンシクは、この時代を生きていく男の野望と虚勢、また家庭で父親として守らなければならない宿命等をうまく混ぜ合わせている。特に130分ほどのランニングタイムを最前線で導いて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負担感の中でも、噛んで、噛まれて、殴って、殴られて、走って、それこそできる全てのアクションを余すことなく消化するチェ・ミンシクの演技は舌を巻くほどだ。)

>이에 최민식은 "양이 방대해 조금이라도 긴장의 끈을 놓쳐서는 안됐다는 것이 힘들기는 했다"며 "내 모든 신경 섬유를 곤두 세워놓은 채 해야할 것들을 모조리 기억하고 있어야 했다. 극심한 집중력을 요하게 되더라"고 전했다. 어떤 장면 하나 허투루 생각한 것이 없다. '애드리브인가?', '저건 좀 설렁설렁 하다' 싶은 것도 모두 치밀하게 짜여진 것이었다.
(これに対しチェ・ミンシクは、「量が膨大で、少しでも緊張の糸を切らしてはいけないのが大変ではあった」とし、「自分の全神経の繊維を逆立たせたまま演じなければならないものを全部覚えてい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相当な集中力を要したよ」と伝えた。どんな場面でもいい加減に考えることがない。”アドリブなのか?””あれはちょっとヒヤヒヤする”と思うことも全部緻密に構成されたことだった。)

>"'내가 무너지면 이 영화는 망한다. 내가 휘청거리면 모든것이 산으로 간다' 이런 생각들은 어쩌면 당연했다. 때문에 후배들이 제 몫을 톡톡히 해줘 너무 고맙고 좋다. 어떤 부분에서는 대충 연기한 것 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웃음) 그 역시 그냥 나온 것은 아니다. 피곤함은 당연하지만 대본만 충실하면 되는 것을 뭐. 하하"
(「「私が崩れればこの映画は滅びる。私が彷徨えば全部が山に行く」この考えは、もしかしたら当たり前だった。だから後輩が自分の役割を正確に演じてくれて、とても有難くて良い。どんな部分ではあらまし演技したように見えるかも知れないが(笑)それはやはりそのまま出てきたのではない。 疲れるということは当然だが台本だけ忠実ならば良いことを、ハハ!」)

>최민식의 대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캐릭터 분석도, 표현도 첫번째는 대본 숙지다. 이번 영화는 흰머리 그득한 노인이 되기까지의 '최익현 일대기'를 그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부산남자 중년 꼰대 조폭 등 그를 설명할 수 있는 수식어도 많다. '아마데우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 서사 형태의 고전 영화를 평소 좋아했다는 최민식은 큰 스케일 긴 러닝타임이 부담스럽기 보다 오히려 도전하고픈 욕망이 샘솟았단다.
(チェ・ミンシクは台本の重要性を強調した。キャラクター分析も表現も最初は台本の熟知だ。今回の映画は、白髪いっぱいの老人になるまでの”チェ・イッキョン一代記”を描く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だから釜山の中年男性、老いぼれ組織暴力など、彼を説明できる修飾語も多い。『アマデウス』『風と共に去りぬ』等、叙事形態の古典映画を普段好んでいたというチェ・ミンシクは、大きいスケールの長いランニングタイムが負担になることより、むしろ挑戦したい欲望が湧いたという。)

>"원래 그런 영화들을 좋아한다. 영화를 보는 내내 긴장하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쭉 보게되는 장르랄까. 그런 영화가 제작되지 않는 풍토가 조금 답답할 뿐이다.(웃음) 최익현이라는 캐릭터는 어떤 것을 입히고 만들기보다는 그 설정 자체에 강한 힘이 있다. 부산 사투리를 써야 하는 부산 사람이고 주둥이로 나불거리고 사는 인물이다. 대본에서 이미 그렇게 지적했다. 대본이 정해주지 않은 것, 전혀 무관한 설정을 하지만 않는다면 누구나 문제될 것은 없다"
(「元々そんな映画が好きだ。映画を見ている間、緊張よりは自然に続けて見られるジャンルというか。そんな映画が製作されない風土が少しもどかしいだけだ(笑)。チェ・イッキョンというキャラクターは、どんなものを負わせて作るよりはその設定自体に強い力がある。釜山弁を使わなければならない釜山人で、クチバシではためいて生きている人物だ。台本ですでにそのように指摘してあった。台本が決めてくれないこと、全く関係がない設定をしないならば誰でも問題になることはない」)

>이 같은 생각은 80년대 조폭을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을 자아내지 않았다. 영화는 실제 80년대에 촬영한 것 마냥 완벽한 군사정권 시절 조폭들을 스크린에 옮겨놨다. 현실과 가상을 오가는 뉴스, 자동차, 간판, 건물 역시 마찬가지다. 이에 최민식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라고 해서 사람 자체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며 준비된 현장에서 최익현을 연기해내기만 하면 됐다고 설명했다.
(この考えは80年代組織暴力を表現するところにあっても困難をかもし出さなかった。映画は実際の80年代に撮影したことひたすら完璧な軍事政権時期の組織暴力をスクリーンに移した。現実と仮想を行き来するニュース、自動車、看板、建物もやはり同じだ。これに対しチェ・ミンシクは80年代、90年代、2000年代といって人自体が変わるのではないとし、準備された現場でチェ・イッキョンを演技やり遂げることだけをすれば良かったと説明した。)



>"정치적으로 불안한 상황이었고 휴교하는 날이 공부하는 날보다 많았지만 그것은 그 시대를 설명하는 장치일뿐이다. 옷 입는 스타일, 유행, 기호식품, 춤, 유행어 뭐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들은 있겠지만 사람이라는 본연의 인물은 변하지 않는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이 변하나? 물론 가부장적인 아버지가 요새는 집안에서 설겆이를 안하면 혼나기도 하지만(웃음) 가족을 지켜야겠다는 기본 마인드는 그대로다. 최익현 역시 마찬가지다. 빈총으로 대변되는 그의 허세는 시대를 타고 흐르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지 충분한 설명이 됐다고 생각한다."
(「政治的に不安な状況であったし、休校する日が勉強する日より多かったが、それはその時代を説明する装置であるだけだ。服を着るスタイル、流行、嗜好食品、ダンス、流行語、時代によって変わることはあるだろうが人という本来の人物は変わらない。子供に対する両親の愛情が変わるか?もちろん家父長的な父親が最近は家で皿洗いをしなければヒドイ目に遭うけれども(笑)、家族を守ら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基本マインドはそのままだ。チェ・イッキョンもやはり同じだ。空砲で代弁される彼の虚勢は、時代に乗って流れるが、あの時や今でもどれほど弱気な存在なのか十分な説明になったと考える。」)

>최민식 하정우 조합만으로도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있는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는 1980년대부터 90년대, 노태우 대통령이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하기 전 격동의 시대 10년간 부산을 장악한 나쁜 놈들의 피보다 진한 의리와 배신을 그린 작품이다. 2월 2일 개봉된다.
(チェ・ミンシク、ハ・ジョンウの組み合わせだけでも爆発的な関心を集めている『犯罪との戦争~悪い奴ら全盛時代』は、1980年代から90年代、ノ・テウ大統領が”犯罪との戦争”を宣言する前の激動の時代に10年間釜山を掌握した悪い奴らの血より濃い義理と背信を描いた作品だ。2月2日公開される。)

【記事】チェ・ミンシク”『犯罪との戦争』、成功しなければならない理由は・・・”[インタビュー]

2012-02-01 | 映画『悪いやつら』(犯罪との戦争)
●osen●(韓国語)
「チェ・ミンシク”『犯罪との戦争』うまく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理由は・・・”[インタビュー]」

“‘범죄와의 전쟁이 잘 됐으면 좋겠다. 최소한 망하지는 말아야 한다”
(”『犯罪との戦争』が成功したら良いだろう。最小限、潰れないよう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


>2010년 잔악무도한 사이코패스의 진수를 보여줬던 배우 최민식이 이후 2년 만에 건달 최익현으로 분해 내놓은 영화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이하 범죄와의 전쟁)를 대하는 자세를 어느 때보다 남다르다.
(2010年極悪非道なサイコパスの真髄を見せた俳優チェ・ミンシクが、以後2年ぶりにチンピラ チェ・イッキョンとして扮した映画『犯罪との戦争~悪い奴ら全盛時代』(以下、犯罪との戦争)に対する姿勢はいつもより格別だ。)

>몇 십억을 투자한 대작들이 흥행하지 못하고 극장가에서 뻥뻥 떨어지고 신인 감독들이 다양한 영화들을 제작하고 있는 가운데 최민식은 ‘범죄와의 전쟁’이 잘 돼서 그 기운이 다른 영화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何十億を投資した大作が興行できず、劇場街でパンパンと落ち、新人監督が多様な映画を製作している中でチェ・ミンシクは、『犯罪との戦争』が成功し、その活気が違う映画にも影響を及ぼせればという。)



>하나 더, 최민식이 ‘범죄와의 전쟁’을 특별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또 있다. 바로 격동의 1990년대를 살았던 우리네 아버지를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영화 얘기를 하던 최민식은 한참을 집안에서 묵묵하기만 했던 아버지를 말하기도 했다.
(もう一つ、チェ・ミンシクが『犯罪との戦争』を特別だと考える理由は他にある。まさに激動の1990年代を生きた我々の父親を思い浮かばせるためだ。映画の話をしたチェ・ミンシクは、ずっと家の中で黙っていただけの父親のことを話したりもした。)



‘범죄와의 전쟁’이 우리 아버지들이 열심히 살았던 1990년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犯罪との戦争』が我々の父親が一生懸命に生きた1990年代の話を含んでいる。)


>‘범죄와의 전쟁’이 반전이 있는 것도 아니고 서스펜스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냥 잡담 같은 영화다. 복덕방에서 아저씨들이 장기를 두고 화투를 치면서 옛날얘기를 하는 그런 느낌이다. 내가 의도하고 팀이 의도한 것은 그런 느낌이다. 영화를 본 후배가 아버지가 생각났다고 하더라. 우리 또래의 사람이 보면 크게 공감할 것 같은 영화다.
(『犯罪との戦争』に反転があるのでもなく、サスペンスでもない。ただ雑談のような映画だ。不動産紹介所でおじさんが将棋を指し、花札をしながら昔話をするそのような感じだ。私が意図しチームが意図したことは、そんな感じだ。映画を見た後輩が父親が思い出されたと言ったよ。私たちの同い年の頃の人が見れば、大きく共感しそうな映画だ。)

>과거 아버지들이 대부분 집안에서 바깥의 이야기를 많이 안했다. 우리 아버지도 그랬다. 바깥에 얘기를 안했다. 이북 분, 함경도 사나이다. 홀로 단신으로 내려와서 얼마나 고생을 했겠나. 성적표 가져오라는 말도 안했다. 함께 과일을 먹을 때도 말을 거의 안해서 그 분위기에 과일도 잘 못었을 정도였다.
(昔の父親は、ほとんどの家で外の話をあまりしなかった。うちの父親もそうだった。外の話をしなかった。北の人、咸鏡道の男だ。一人単身で南に来て、どれほど苦労しただろうか。成績表を持ってこいということも言わなかった。一緒に果物を食べる時も話をほとんどしなくて、その雰囲気に果物も味わって食べられない程であった。)


‘범죄와의 전쟁’ 어떤 영화인가?
(『犯罪との戦争』はどんな映画か?)


>여자남자 다 떠나서 이 영화가 관통하는 줄기에서 뿜어내는 정서가 있다. 그렇게 살아날 수 없는 사내의 연민에서부터 출발한 영화다. 그 행위가 정당화되고 합리화되고 그런 것이 아닌 우리네 아버지들이 불쌍하고 처해진 상황도 다르고 직업도 다르고 극중 비리, 부패, 사기, 권모술수는 80년대 이야기지만 미래에도 그럴 것이고 현재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것들이 들었을 때 익숙한 이야기다. 요즘은 ‘이런 나쁜 놈들이네’가 아니라 ‘그렇구나’라는 인식이 돼 있다.
(男女みな離れて、この映画が貫く筋から吹きだす情緒がある。そのように生きることができない男の憐憫から出発した映画だ。その行為が正当化されて合理化されて、そうでない父親達が哀れに置かれた状況も違い、職業も違い、劇中の非理、腐敗、詐欺、権謀術数は80年代の話だが、未来にもそうだし、現在もあることだろう。これらを聞いたときに馴染む話だ。最近は”こんな悪いやつらなんだね”でなく”そうなんだね”という認識になっている。)


영화를 본 주변 사람들의 반응은 어떤가?
(映画を見た周りの人々の反応はどうなのか?)


>여성 관객들이 어떻게 볼까 궁금했다. 포스터도 그렇고 소도둑놈들 같은 사람들이 걸어오니까 ‘식상한 깡패영화 아니냐’, ‘조직배신 이런 거 아니냐’라고 생각할 것 같았다. 여성관객들 같은 경우는 우리 스타일이 아니다라고 볼 수 있겠다. 그래서 여자 후배들한테 화장실가서 얘기 좀 들어보라고 했다. 화장실에서 하는 얘기가 정답이다. 반응들을 들어보니 재미있다고 했다고 했다. 그래서 제대로 들었냐고 물어보기까지 했다. 영화가 조직 폭력배들이 나오는 스타일이라서 여성관객들 반응이 궁금했다.
(女性の観客がどう見るのか気になった。ポスターもそうで、牛泥棒みたいな人が歩いてくるから”食傷ぎみであるチンピラ映画じゃないか”、”組織の背信が、こういうのではない”と考えそうだった。女性の観客のような場合は、自分の好みではないと思うだろう。 それで女の後輩に、トイレに行って話をちょっと聞いてみろと言った。トイレでする話が正答だ。反応を聞いてみると、面白いと言ったそうだ。それでちゃんと聞いたのか?と尋ねることさえした。映画が、組織暴力団が出てくるスタイルなので女性観客反応が気になった。)


>그리고 가편집된 영화를 단 한 사람에게 모니터 해달라고 했다. 3살 어린 친구인데 정말 산만하다. 그런데 한 번도 화장실을 안가고 봤다. 그 친구가 아버지 생각이 난다고 했다. 그래서 관객들이 공감할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
(そして加編集された映画を、たった一人にだけモニターして欲しいと言った。3才の幼い友人なのだが、本当に散漫だ。しかし一度もトイレを行かずに見た。その友人が父親を思い出すと言った。それで観客が共感するという確信があった。)


‘악마를 보았다’에서도 잔인하게 연쇄살인을 하고 이번 영화에서도 무차별적으로 사람들을 때린다. 후휴증이 있었나?
(『悪魔を見た』でも残忍に連続殺人をし、今回の映画でも無差別的に人々を殴る。後遺症があったか?)


>피 나오는 건 다신 안한다고 했는데 또 하게 됐다. 영화를 찍는 동안 역할에 젖어들 수밖에 없다. 욕을 자꾸 하게 되고 사소한 것에 분노가 치밀어 오르고 과격한 행동을 자꾸 하게 되는 등 자제력을 잃게 되더라. 그래서 힘들었다.
(血が出るものは二度としないと言ったが、またすることになった。映画を撮っている間、役割に染み入るほかはない。悪口を度々言うようになり、些細なことに怒りが込み上げて、過激な行動を度々するようになるなど、自制力を失うようになったよ。だから大変だった。)

>촬영 때문에 현장이 온통 피바다가 될 때가 있다. 구역질이 나올 정도였다. 가짜 피인걸 분명히 아는데도 진짜 피같이 느껴져서 구역질이 나왔다.
(撮影のために現場がすべて血の海になる時がある。吐き気がしてくる程だった。偽りの血なのを明確に理解していても、本当の血のように感じられて吐き気がしてきた。)


향후 어떤 영화를 하고 싶나?
(今後どんな映画をやりたいか?)


>문학적인 것을 하고 싶다. ‘파이란’처럼 저예산으로 큰 울림을 줄 수 있는 영화를 하고 싶다. 현재 우리 영화 현실이 대작들이 흥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창작하는 사람들도 자기 검열을 하고 트렌드를 쫓게 되는 상황이 생기고 있다. 그래서 난 이 영화가 잘 됐으면 좋겠다. 개인적인 것도 있지만 영화가 잘 되서 다른 영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면 좋겠다.
(文学的なものをやってみたい。『パイラン』のように、低予算で大きい反響を与えることができる映画をやりたい。現在私たちの映画の現実が、大作が興行できないために、創作する人々も自分で検閲をしトレンドを追うようになる状況ができている。だから私はこの映画が成功すればと思う。個人的なこともあるが、映画が成功して、他の映画にも肯定的な影響を与えたら良いだろう。)


>영화들이 잘 안되면 신인감독들은 어떻게 하냐. 최소한 망하지는 말아야 한다. 내가 망하고 안 망하고가 중요한 게 아니라 ‘범죄와의 전쟁’이 잘되면 긍정적인 기운이 퍼질 수 있다. 영화인들 모두 다 같이 살아야 한다.
(映画が成功しなければ新人監督はどうしたらいいのか。最小限、潰れないよう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私が潰れる、潰れないのが重要なのでなく、『犯罪との戦争』が成功すれば肯定的な活気が広がることができる。映画関係者の全員が共に生きなければならな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