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week●(韓国語)
『犯罪との戦争』チェ・ミンシク”一緒に生きていくのが本当の演技”
(※映画の本編のことも話されているのでご注意!)
>
최민식이 <범죄와의 전쟁>에서 배우 군단을 이끌고 나타났다. <취화선> <올드보이> <악마를 보았다>에서 고유의 뜨거운 에너지로 스크린을 가득 채웠던 그가 혼자 연기하는 것보다 함께 연기하는 게 더 즐겁다고 말한다.
(チェ・ミンシクが『犯罪との戦争』で俳優軍団を引き連れて現れた。『酔画仙』『オールド・ボーイ』『悪魔を見た』で固有の熱いエネルギーでスクリーンをいっぱいに満たした彼が、一人で演技することより共に演技する方がさらに楽しいと話す。)
>
영화 보니 어떤가?
(映画を見てどうか?)
>항상 쑥스럽지, 뭐. 잘라낸 장면이 많은데 좀 지루하더라도 더 길고 넉넉한 호흡으로 이야기를 끌고 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いつも恥ずかしいよ、もう。カットされた場面が多いが、少々退屈でも、もっと長くて豊かな呼吸で話を引っ張っていったらどうだったかなという心残りがある。)
>
최익현은 영화에서 1980년대 ‘부산 폭력배의 대부’라고 불린다. 제대로 악독하게 나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귀엽더라.
(チェ・イッキョンは映画で1980年代”釜山暴力団のボス”と呼ばれている。そのままあくどく出てくると思ったけど、思ったより可愛かったよ。)
>그래? 헤헤. 다행이다. 한 남자가 옛날 복덕방 같은 곳에서 자신의 무용담을 늘어놓는 느낌이 나길 바랐다. 옛날 복덕방은 동네 할아버지, 아저씨들이 모이는 장소 아니었나. 거기서 낮술에 취한 어떤 사내가 누가 듣든 말든 “내가 말이야 왕년에는~” 하면서 이빨을 까는 것 같은 느낌, 그 허세. 그러다 누군가 “어이, 최 씨, 그만 떠들고 집에 들어가!”라고 하거나, 그 사내의 아들딸이 사내를 찾으러 와서 황급히 자리를 뜨는 그 뒷모습에서 배어나오는 쓸쓸함. 최익현을 통해 그 허세와 쓸쓸함을 모두 표현하고 싶었다.
(そう?へへ。幸いだ。一人の男が昔不動産紹介所のようなところで自身の武勇伝を並べ立てる感じが出るように願った。昔不動産紹介所は町内おじいさん、おじさんが集まる場所じゃないか。そこで昼間酒に酔ったある男が、誰が聞こうが聞くまいが”俺がな、昔は~”と言いながら歯をむくような感じ、その虚勢。そうするうちに誰か”オイ、チェ氏!騒ぐのをやめて家に帰れ!”と言ったり、その男の息子や娘が男を探しに来てあわてて席をはずす、その後ろ姿がから染み出てくる寂しさ。チェ・イッキョンを通じてその虚勢と寂しさを全部表現したかった。)
>
영화의 마지막 장면, “대부님”이라는 소리에 카메라를 향해 고개를 돌리는 최익현의 얼굴에서 정확히 그런 느낌을 받았다. 완전히 사랑할 수도, 완전히 미워할 수도 없는 남자라고 할까.
(映画の最後の場面、”ボス”という声にカメラに向かって顔を向けるチェ・イッキョンの顔で正確にそんな感じを受けた。完全に愛することも、完全に嫌うこともできない男というだろうか。)
>그게 바로 우리 아버지 세대의 얼굴 아니겠나. 처음에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 그게 되게 짠하게 느껴졌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잘못을 정당화하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최익현만 해도 온갖 비리를 저지르고, 권모술수를 펼치며 살지 않나. 그의 삶은 분명 그릇되다. 그런데 여기서 기억해야 할 것은, 그들이 겪어온 세상 자체가 올바르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먹고살기 위해서,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그렇게 살 수밖에 없었다는 거다. 그 점에 연민을 느낀다.
(それがまさに私たちの父の世代の顔ではないか。初めにシナリオを読んだ時、それがかなり胸が痛く感じられた。かと言って彼らの誤りを正当化しようという話ではない。チェ・イッキョンだけ見てもあらゆる不正を犯して、権謀術数を広げて生きているでないか。彼の人生は明らかに誤っている。ところでここで覚えて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は、彼らが経験した世の中自体が正しくはなかったという点だ。生きるために、家族を守るためには、ある程度そう生きるほかはなかったということだ。その点に憐みを感じる。)
>
확실히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는 느낌이 다르다. <대부> 시리즈나 <카지노>(1995) 같은 영화의 갱스터들은 카리스마를 뽐내는데, 이 영화의 건달들은 먹고 살기 위해 진창을 구르는 느낌이다.
(確かにハリウッドのギャングスター映画とは感じが違う。『ゴッドファーザー』シリーズや『カジノ』(1995)のような映画のギャングスターはカリスマを誇るが、この映画のごろつきは生きるためにぬかるみを転がる感じだ。)
>그렇지. 할리우드 갱스터가 대형마트를 놓고 싸운다면, 이 영화의 건달들은 구멍가게를 놓고 싸운다고 할까.(웃음) 그래서 더 짠하게 느껴지는 거지. 그런데 혹시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라는 제목이나 마초 같은 사내들이 떼를 지어 걷는 포스터를 보고 이 영화를 전형적인 누아르, 갱스터 영화로 생각하는 관객이 있을까 걱정이다.
(そうだろ。ハリウッドのギャングスターが大型マートを置いて戦うならば、この映画のごろつきは雑貨屋を置いて戦うというだろうか(笑)。それでさらに胸が痛く感じられることだね。ところでひょっとして『犯罪との戦争~悪い奴ら全盛時代』という題名や、マッチョのような男が群れを成して歩くポスターを見て、この映画を典型的なノアール、ギャングスター映画として考える観客がいるのか心配だ。)
>
윤종빈 감독만 해도 1979년생 아닌가. 주요 배역을 맡은 배우 중에 1980년대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는 사람은 당신이 유일하지 않나?
(ユン・ジョンビン監督でも1979年生まれでないか。主な配役を引き受けた俳優の中に、1980年代を鮮明に記憶している人はあなたが唯一ではないか?)
>난 198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니까 그 시절에 대한 추억이 있다. 하지만 다른 배우들이 1980년대를 잘 모르는 게 장애가 되지는 않았다. 물론 미술, 의상, 헤어, 메이크업 같은 외적인 부분에서는 1980년대의 분위기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게 아주 중요했지만, 배우가 그 시대를 의식하면서 연기할 필요는 없었다. 사람들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거든. 사회 제도나 정치적 상황이 달라질 수는 있어도 그걸 겪는 사람 자체가 달라지지는 않으니까. 이 영화의 배우들이 1980년대라는 시대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기하길 참 잘했다고 생각한다.
(私は1980年代に大学に通っていたから、その時期に対する思い出がある。だが、他の俳優が1980年代をあまり知らないことが障害になることはなかった。もちろん美術、衣装、ヘアー、メイクアップのような外的な部分では、1980年代の雰囲気を正確に再現することはとても重要だったが、俳優がその時代を意識しながら演技する必要はなかった。人々は大きく変わらなかったんだよ。社会制度や政治的状況が変わることはできても、それを体験する人自体は変わりはしないから。この映画の俳優が1980年代という時代にしばられないで自然に演技するのが本当にうまかったと思う。)
>
과연 이 영화 최고의 볼거리는 적역 캐스팅으로 모인 여러 배우들이 한데 어우러져 펼치는 앙상블 연기다.
(なるほど。この映画最高の見どころは、適役キャスティングで集まった色々な俳優が一同に調和して広げるアンサンブル演技だ。)
>맞다! <범죄와의 전쟁>이라는 집을 짓는 데 있어 누구 하나 제 역할을 다하지 않은 배우가 없다. 근래 들어 ‘앙상블 연기라는 게 이런 것이다’ 하는 것을 제대로 보여준 최고의 영화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래서 진짜 기분 좋다!
(その通り! 『犯罪との戦争』という家を作るに当たり、誰一人自らの役割をつくさなかった俳優がいない。近代に入って”アンサンブル演技というのがこういうものだ”というのを満足に見せた最高の映画ではないかという気がする程だ。だから本当に気持ちが良い!)
>
배우들이 전부 신나서 연기하는 게 눈에 보인다.
(俳優が全員楽しく演技するのが目に見える。)
>‘좋은 공연을 보면 무대 뒤가 보인다’는 말이 있다. 좋은 공연을 보면 배우들이 어떤 분위기에서 어떤 식으로 연습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 헤아릴 수 있다는 뜻이다. <범죄와의 전쟁> 역시 카메라 뒤가 보이는 영화라고 확신한다. 내가 이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을 카리켜 ‘프로페셔널하다’고 하는 게 바로 그 때문이다. 연기라는 게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데, <범죄와의 전쟁>의 배우들은 누구 하나 잘난 척하는 사람 없이, 서로를 배려하며 상대의 호흡을 느끼면서 연기했다. 아주 대견하다. 특히 조범석 검사를 연기한 곽도원과 최형배의 오른팔 박창우를 연기한 김성균을 봐라! 곽도원은 <황해>(2010)에서 김승현 교수 역으로 잠깐 나왔다가 이번에 큰 역을 맡았고, 김성균은 이번에 처음 영화에 출연하는 건데 너무 잘해서 깜짝 놀랐다. 선배들이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안 되겠더라니까.(웃음)
(”良い公演を見れば舞台の後ろが見える”という言葉がある。良い公演を見れば俳優がどんな雰囲気でどんな方法で練習をどのくらい沢山したのか推し量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意味だ。『犯罪との戦争』も、やはりカメラの後ろが見える映画だと確信する。私がこの映画に出演した俳優を指して”プロフェッショナル”と呼ぶのがまさにそのためだ。演技というのは互いに調和を作り出すのが何より重要だが、『犯罪との戦争』の俳優は誰一人として偉ぶる人がいなくて、互いを配慮して相手の呼吸を感じながら演技した。とても大きいことした。特にチョ・ポムソク検事を演技したクァク・ドウォンとチェ・ヒョンベの右腕パク・チャンウを演技したキム・ソンギュンを見ろ!クァク・ドウォンは『黄海』(2010)でキム・スンヒョン教授役として少し出たが、今回大きな役を担ったし、キム・ソンギュンは今回初めて映画に出演するのにとても上手でビックリした。先輩たちが気をしっかり引き締めなくてはならなかったんだよ(笑)。)
>
하정우와 함께 연기한 느낌은 어땠나?
(ハ・ジョンウとともに演技した感じはどうだったか?)
>좋았다, 진짜. 하정우는 외모나 연기하는 방식이 굉장히 멋스럽지 않나. 표현도 아주 정확하고. 그래서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친구다. 40대가 되고 중년에 접어들면 진짜 ‘폼’ 나는 배우가 될 것 같다. 40대 남자 배우, 그거 괜찮거든! 결혼도 하고 인생의 굴곡을 맛보면 남자가 영글면서 확 수컷 냄새가 나기 시작한다. 40대 남자에게는 20대, 30대의 남자와는 비교할 수 없는 멋이 있거든.(웃음)
(良かった、本当に。ハ・ジョンウは外見でも演技するスタイルがとても素敵じゃないか。表現もとても正確で。だから今後がさらに期待される後輩だ。40代になって中年になれば本当にカッコイイ俳優になりそうだ。40代の男優、それ大丈夫だから!結婚もして人生の屈曲を味わえば、男が成熟しながらフッと雄のニオイがし始める。40代男には20代、30代の男とは比較できないカッコ良さがあるから(笑)。)
>
최익현이 수많은 인물을 일대일로 상대하는 장면이 많은데, 그 많은 배우 중 누구 하나 ‘최민식’ 앞에서 쪼는 사람이 없더라.
(チェ・イッキョンが数多くの人物を一対一で相手にする場面が多いが、その多くの俳優の中誰一人”チェ・ミンシク”の前で居眠りする人はいなかったよ。)
>허허허허. 아니 내가 뭐라고, 내 앞에서 왜 쫄아? 하하하.
(ははははっ。いや、私が何だって?私の前でなぜ眠い?ハハハ)
>
살인마 장경철로 분한 <악마를 보았다>(2010)에서는 대부분의 장면에서 홀로 스크린을 꽉 채우는 존재감을 보였다면, <범죄와의 전쟁>에서는 수많은 등장인물들을 번갈아 상대하며 상대 배우에게서 최고의 연기를 뽑아내는, 놀라운 탄력을 선보이는 느낌이다. 전자의 연기와 후자의 연기를 하는 맛이 어떻게 다른가?
(殺人魔チャン・ギョンチョルに扮した『悪魔を見た』(2010)では多くの場面で、単独でスクリーンをぎゅっと満たす存在感を見せたとすれば、『犯罪との戦争』では数多くの登場人物をかわるがわる相手にして、相手俳優から最高の演技を抜き取る、驚くべき弾力をリリースする感じだ。前者の演技と後者の演技をする味がどう違うのか?)
>‘독고다이’로 연기하는 건 재미없다. 너무 외롭다. 그건 결코 좋은 연기가 아니다. 앙상블 연기가 훨씬 재미있다. 속된 말로 같이 먹고살아야 영화 전체, 배우 전체가 폼 나 보이는 거 아니겠나.(웃음)
(”一匹狼”で演技するのはつまらない。とても孤独だ。それは決して良い演技ではない。アンサンブル演技がはるかに面白い。俗っぽい言葉で一緒に生きてこそ映画全体、俳優全体が格好よく見え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笑)。)
>
<범죄와의 전쟁>의 다른 배우들 전부 그 진리를 깨달은 것 같다. 다들 최민식이란 배우를 칭송하기 바쁘더라.
(『犯罪との戦争』の他の俳優全員その真理を悟ったようだ。みんなチェ・ミンシクという俳優を称賛するのにせわしかったよ。)
>내가 술 좀 사니까 그런 거다. 내가 살기 위해서 술 좀 샀다. 내가 살기 위해서. 흐흐흐.
(私が酒をちょっと奢るからそうなんだよ。私が生きるために少し酒を奢った。私が生きるために。フフフ・・・)
>
<범죄와의 전쟁>의 배우들뿐만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최민식이란 이름은 ‘진짜 연기’, ‘좋은 연기’의 대명사가 돼버린 지 오래다. 배우들 인터뷰를 하다 보면 당신이 술자리에서 한 말을 ‘진짜 연기’의 철칙처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犯罪との戦争』の俳優だけだけでない。我が国でチェ・ミンシクという名前は”本当の演技”、”良い演技”の代名詞になってしまってから久しい。俳優にインタビューをしてみるなら、あなたが酒の席でした話を”本当の演技”の鉄則のように話す場合が多い。)
>술자리에서 내가 뭐라고 떠들었는지 기억도 잘 안 나는데. 흐흐흐. 배우라는 직업이 참 외롭다. 그래도 나는 대학에서 정식으로 연기를 배우고, 극단 생활을 했으니 처음부터 선배, 후배, 동기들과 함께 부딪치면서 덜 외롭게 연기해 온 편에 속한다. 또 그동안 나이 먹으면서 개똥 철학이지만, 배우로서 나만의 주관도 생겼고. 그래서 뭔가에 휘청거리고 외로울 때 그래도 붙잡고 고집을 부릴 만한 밑천이 좀 있다. 그런데 어린 나이에 갑자기 스타덤에 오른 친구들은 뭐가 뭔지 몰라서 괴로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 곁에서 잡아주는 게 선배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 술자리에서 배우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는 후배를 만나면 얼마나 기특하겠나? 하루아침에 스타가 됐다가 그 다음 날 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지는 게 다반사인 연예계에서 배우로 살아남으려면 자기만의 주관이 있어야 한다. 연기를 왜 하는지, 연기를 통해서 무엇을 얻는지, 연기라는 작업의 의미가 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거다. 그런 고민을 하는 예쁜 후배를 만나면 가차없이 뻐꾸기를 날려줘야 한다! 술도 막 먹이고! 으하하하하하.
(酒の席で私が何か騒いだのか、よく思い出せないのだけど。フフフ。俳優という職業は本当に孤独だ。それでも私は大学で正式に演技を学び劇団生活をしたので、初めから先輩・後輩・同期たちと共にぶつかりながら、そんなに孤独でなく演技してきた方だ。またその間年を取りながら、つまらない哲学だが俳優として自分だけの主観もできたし。だから何かによろめき孤独な時、それでも捕まり我を張るほどの基礎が少しある。しかし幼くして突然スターダムに上がった仲間は、何が何か分からなくて苦しむ場合が多い。そんな時、側で支えてあげるのが先輩の役割だと思う。だから酒の席で俳優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に対する悩みを打ち明ける後輩に会えば、どのくらい奇特だろうか?一日でスターになって、その次の日の朝、奈落に落ちるのが茶飯事である芸能界で俳優として生き残ろうとするなら、自分だけの主観がなければならない。演技を何故するのか、演技を通じて何を得るのか、演技という作業の意味が何か真剣に悩ま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だ。そんな悩みを持つかわいい後輩に会えば、容赦なくお世辞を言ってあげなければならない!酒もむちゃくちゃ飲ませて!ワハハハハハ。)
>
안 예뻐 보이는 후배도 있나?
(かわいくないような後輩もいるのか?)
>촬영장에 일찍 오는 게 뭔가 폼 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배우들이 있는데, 그런 개념은 도대체 언제 어디서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겠다. 그런 데 신경 쓰는 건 연기하는 데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짓이다. 그런 것에 신경 쓰면서 어떻게 좋은 연기를 할 수 있겠나? 촬영장에 일찍 올 수 있는데도 주연 배우라고 해서 일부러 느지막이 오는 건 소속사에서도 잘못하는 거다. 배우를 망치는 지름길이다.
(撮影現場に早く来るのが何か格好悪いと考える俳優がいるが、そのような概念は一体いつどこで誰が作ったのかと思う。ところで気を遣うことは、演技するのにどのパートナーに対しても不必要なことだ。そんなことに気を遣いながら、どうして良い演技ができるだろうか?撮影現場に早く来ることができるときも、主演俳優だからと言ってわざわざ遅くくるのは、所属会社からしても間違っていることだ。俳優を亡ぼす近道だ。)
>
‘우리나라 최고 배우’라는 말을 들으면 기분이 솔직히 어떤가?
(”我が国最高の俳優”という言葉を聞くと、率直にどんな気持ちなのか? )
>칭찬해 주니까 고맙긴 한데, 사실 연기에 최고가 어디 있나? 송강호 김윤석 설경구 김명민 하정우 류승범이 다 다른 색깔과 소리를 내는데, ‘연기를 잘했다, 못했다’고는 할 수는 있어도 순위를 매길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범죄와의 전쟁>에서 내가 연기한 최익현이 정답은 아니다. 나는 이렇게 표현했지만, 송강호 설경구 김윤석이 연기했다면 다 다른 최익현이 나왔을 거다. 더구나 <살인의 추억>(2003)의 송강호, <올드보이>(2003)의 최민식, <박하사탕>(2000)의 설경구를 놓고 우열을 가리는 건 무의미한 일이다. 삶이 그렇듯 연기도 내가 지금까지 깨우친 것보다 앞으로 알아갈 것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연기에 대해 아직 모르는 게 너무 많은데 벌써 ‘최고’라고 얘기하면, ‘더 이상 연기할 게 없다’는 소리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称賛してくれるから有難いことは有難いが、実際に、演技の最高がどこにあるのか?ソン・ガンホ、キム・ユンソク、ソル・キョング、キム・ミョンミン、ハ・ジョンウ、リュ・スンボムが皆違う色と声を出すが、”演技が良い、悪い”と言うことはできても順位を付けることはできない。例えば『犯罪との戦争』で私が演技したチェ・イギョンが正解ではない。私はこう表現したが、ソン・ガンホ、ソル・キョング、キム・ユンソクが演技したとすれば、皆違ったチェ・イギョンが出てきただろう。しかも『殺人の追憶』(2003)のソン・ガンホ、『オールド・ボーイ』(2003)のチェ・ミンシク、『ペパーミントキャンデー』(2000)のソル・キョングを置いて優劣をつけるのは無意味なことだ。人生がそうみたいに、演技も私が今まで悟ったことより、今後知っていくことがより多いと思う。演技に対してまだ分からないのがあまりにも多いがすでに”最高”と話せば、”これ以上こと演技することがない”という声として受け入れることもできる。)
>
사람들이 흔히 ‘최민식의 연기는 뜨겁다’고 말하지 않나. 스스로도 그렇게 생각하나?
(人々がよく”チェ・ミンシクの演技は熱い”と言うじゃないか。自分でもそう思うのか?)
>내 연기가 뜨겁다고? 난 미지근한 것 같은데? 미적지근~.
(私の演技が熱いって?私はぬるいようだけど?生ぬるい~)
>
도대체 어떤 점이 미지근하다는 건가?
(一体どの点がぬるいということなのか? )
>예를 들어 연기를 악기 연주라고 치면, 악보대로 정확히 연주하는 게 중요한 거 아니겠나. 악보에 적힌 대로 음이 높아지기도 했다가 음이 낮아지기도 하고 그 상황, 그 정서에 맞는 음을 내는 거지. 지금까지 내가 연기한 작품을 돌아보면 자극적이고 강렬한,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 같은 작품을 많이 한 것 같기는 한데, <꽃피는 봄이 오면>(2004) 같은 영화에서는 그래도 좀 미적지근했잖나.(웃음) ‘뜨거운 연기를 하는 배우’라고 규정되는 게 썩 기분 좋지는 않다.
(例えば演技を楽器演奏だとすれば、楽譜のとおり正確に演奏するのが重要なのではないのではないか。楽譜に書かれた通り音が高まったりもしたり音が低くなったりして、その状況、その情緒に合う音を出すことだね。今まで私が演技した作品を振り返れば、刺激的で強烈なベートーベンの「運命交響曲」のような作品を沢山演じた感じではあるが、『花咲く春が来れば』(2004)のような映画では、それでもちょっと生ぬるかったじゃないか(笑)。”熱い演技をする俳優”と規定されることが、あまり気分は良くない。)
>
<꽃피는 봄이 오면>의 현우도 굉장히 따뜻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花咲く春が来れば』のヒョヌもとても暖かかったものとして記憶しているが?)
>그건 아마도 내가 선천적으로 타고난 외모, 목소리, 기운이 그렇기 때문일 거다. 안 되겠네. 다음에는 드라이아이스처럼 아주 그냥 차가운 거 한 번 해야겠다!(웃음)
(それは恐らく私が先天的に持って生まれた容貌、声、気勢がそうである為だろうね。ダメだね。次はドライアイスのようにとても冷たいものを一度してみなければ!(笑))